전주의 오랜 숙원이었던 전주역세권 개발사업이 정동영 국회의원의 결단과 협상 및 중재로 본격적으로 재추진된다. 정 의원은 지난 8일 덕진구 우아1동 주민센터에서 전주시와 윤동욱 전주시 부시장, 송영환 LH 전북본부장, 장재마을 주민 및 전주시민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주역세권 개발사업 관련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전주역세권 인근 106만㎡ 부지에 조성될 주거단지 사업의 향후 추진 일정과 교통대책을 주민들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전주역 뒤편 역세권은 지난 2018년 국토교통부가 민간임대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지구지정을 완료한 곳이었으나, 2020년 이후 주택공급정책 변화로 사업이 중단된 채 장기간 답보상태에 놓여 있었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전주역세권 인근 약 106만㎡ 부지에 임대주택 공급 등을 담당할 LH와 전주시가 주민들께 향후 추진 일정을 공유했다. LH는 교통개선 대책을 포함한 사업계획을 내부의사결정을 거쳐 올해 연말까지 국토교통부에 지구계획 승인을 신청할 예정이다. 지구계획 승인이 완료되면 LH는 2027년부터 보상 등 본격적으로 사업 절차에 추진한다.
전주시도 외부 교통개선 대책을 통해 △초포다리로 확정 △초포다리로 확장(1.8km, 2→4차로) △전진로 확장(0.6km, 4→6차로) △동부대로 진입로 확장(2개소, 총 0.4km, 2→4차로)을 LH 전액부담으로 사업계획에 반영했고 △동부대로 지하차도 신설에 대한 LH의 분담 비율도 상향 조정하는 성과를 보였다.
이번 사업이 추진된다면 전주역세권 인근 우아동, 호성동 인근 약 106만㎡ 부지에 임대주택을 포함해 약 7천여 세대 규모의 주거단지가 조성될 전망이다.
 |
위치도 |
정동영 의원은 “전주역세권 개발이 멈춘 원인은 외부교통개선 대책을 두고 LH와 전주시 간 이견이 있었기 때문이다”며 “국토부와 LH, 전주시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하며 중재한 끝에, 올해 1월 최종 합의가 이뤄졌고 사업이 재착수됐다”고 설명했다.
정 의원은 설명회에서 “전주역 뒤편 역세권은 2018년 국토부가 민간임대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지구지정을 완료한 곳이었지만 2020년 이후 주택공급정책 변화로 사업이 중단된 채 장기간 답보상태에 놓여 있었다”며 “외부교통개선 대책을 두고 LH와의 이견이 있었지만, 본인이 국토부와 LH, 전주시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하며 중재한 끝에, 최종 합의가 이뤄졌고 사업이 재착수됐다”고 강조했다./서울=김영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