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는 2025년 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총 11조 4,781억원 규모로 편성, 28일 도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2025년 기정예산 10조 9,861억원 대비 4,920억원(4.5%) 증가한 규모다.
도는 이번 추경은 세입 감소와 불확실한 재정여건 속에서도 민생안정과 지역경제 활력 회복에 방점을 두고,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분 재원 마련을 위한 최소한의 추경으로 도민 생활과 직결된 분야에 집중하여 편성했다고 밝혔다.
전북도 뿐만 아니라 전국 자치단체들의 세입 여건은 최근 몇 년 사이 급격히 악화됐다. 특히 지난 7월 정부 국세세입경정에 따라 도 지방소비세 세입 역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며, 경기 둔화 및 세수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추가 세수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다.
도는 이번 추경에서 사전절차 이행 등에 따른 집행률 저조로 불용‧이월이 예상되는 사업, 특히 국‧도비 보조사업 중 시군비 미매칭으로 추진 실적이 저조한 사업은 과감히 조정하여 시급한 사업에 우선 투자함으로써 재정 운용의 건전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또 국고보조사업 및 중앙 공모사업 중 도비 매칭이 필요한 신규사업도 연내 집행 가능성을 철저하게 검토 반영했으며, 투자심사 등 사전절차가 완료된 경우에만 추경에 포함시켰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이번 제2회 추경은 재정여건의 어려움 속에서도 민생안정과 지역경제 회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편성했다”며,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경기 회복과 생활 안정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집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북도는 이러한 정부의 정책 기조에 따라 한정된 재원 속에서도 ▲민생안정, ▲취약계층 지원, ▲재난재해 대응, ▲건설경기 활성화 및 신산업 분야에 집중 투자했으며 불요불급한 사업은 배제하고 시급한 사업 위주로 담았다고 설명했다.
/장정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