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전북, 인공태양 유치해 미래 에너지 주권 확보하자
    • 전북자치도가 미래 에너지 패권을 좌우할 핵융합 연구시설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새만금 산업단지를 후보지로 내세운 이번 도전은, 21세기 에너지 주권과 국가 기술력을 가늠할 대형 프로젝트다. 1조2천억이 투입되는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 사업’은 2027년부터 2036년까지 10년간 추진될 예정으로, 미래 세대를 위한 친환경 에너지 혁신의 시험대이자 국가 과학기술 역량의 상징이 될 것이다.

      핵융합 기술은 태양의 에너지 생성 원리를 인공적으로 재현해 전력을 생산하는 이른바 ‘인공태양’ 기술이다. 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폭발 위험이나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도 없다. 원자력의 안정성을 뛰어넘고,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궁극의 청정에너지로 꼽히는 이유다.

      새만금은 후보지로서 탁월한 입지를 자랑한다. 50만㎡ 이상의 단일 부지 확보가 가능하고, 6차선 진입도로와 전기·상하수도 등 기반 인프라가 이미 갖춰져 있다. 2027년 공사 완료 시점이 사업 착수 일정과도 일치해 행정·물리적 여건 모두 이상적이다. 여기에 오는 11월 개통 예정인 새만금-전주 고속도로는 연구 인력 이동과 정주 환경 개선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무엇보다 전북의 가장 큰 강점은 이미 자리 잡은 연구 생태계다. 군산의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플라즈마기술연구소는 2012년부터 플라즈마 원천기술 연구와 산업화를 추진해 왔다. 이 연구소는 핵융합 연구시설과의 기능적 연계성이 높고 기술 집적화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새만금 재생에너지 국가종합실증연구단지, RE100 산단 등도 인접해 있어 연구 성과의 실용화 및 상용화 가능성 역시 높다. 새만금이 ‘에너지 혁신 허브’로 도약할 충분한 토대가 이미 마련돼 있는 셈이다.

      유치가 확정되면 건립과 운영 과정에서 350명 이상의 고급 연구 인력이 직접 고용되고 관련 전기·전자·초전도 분야 기업 및 스타트업이 대거 유입돼 지역 산업구조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다. 전북도가 구상하는 ‘R&D특구 트라이앵글’—새만금의 미래에너지 연구거점, 전주·완주의 농생명 융합 거점, 정읍의 융복합 혁신 거점—이 완성되면, 전북은 국가 혁신지도의 핵심축으로 부상할 것이다.

      이제 남은 것은 결단력과 공감대다. 전북도는 새만금개발청, 군산시, 농어촌공사 등과 유치대응TF를 꾸려 본격적인 유치전에 돌입했다. 지역 국회의원들도 ‘새만금에 떠오르는 인공태양’ 결의대회를 통해 힘을 보탰다. 하지만 진정한 승부는 지역의 단합된 의지에 달려 있다. 도민이 하나로 뭉쳐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유치 열기를 전국으로 확산시켜야 한다.

      인공태양 프로젝트는 단순한 연구시설이 아니다. 그것은 전북의 미래산업 지도에 빛을 더하고 대한민국의 에너지 주권을 지탱할 새로운 태양을 띄우는 일이다. 인류의 에너지 혁명을 향한 이 거대한 도전에 새만금이 이름을 올릴 수 있도록 지금이야말로 도민의 뜻과 국가의 의지를 하나로 모아야 할 때다. 새만금에 떠오를 인공태양이 곧 전북의 미래를 밝히는 빛이 되기를 기대한다.

    Copyrights ⓒ 전북타임즈 & jeonbuktimes.bstor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전북타임즈로고

회사소개 | 연혁 | 조직도 | 개인정보보호,가입약관 | 기사제보 | 불편신고 | 광고문의 | 청소년보호정책 | 고충처리인 운영규정

54990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태진로 77 (진북동) 노블레스웨딩홀 5F│제호 : 전북타임스│ TEL : 063) 282-9601│ FAX : 063) 282-9604
copyright ⓒ 2012 전북타임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bn8800@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