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율운송 통합관제센터 조감도 |
전북특별자치도는 친환경차 전환 가속화와 자율주행 기술 실증 통한 미래차 중심으로 자동차산업 생태계를 재편성하고 있다.
전북도의 자동차산업 재편성 전략은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 위한 정책적 흐름에 맞춰 ‘탈내연기관’ 구조 전환을 핵심으로 삼았다.
전기 상용차 시장은 지난해 709억 달러 규모에서 2029년까지 2,556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수소연료전지 상용차도 2023년 49억 8천만 달러에서 2031년 624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전북자치도는 '전북특별자치도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2024년~2033년)'에 따라 2030년까지 도내 친환경차 8,800대를 보급해,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자율주행 상용차 시장도 연평균 8.3%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이 됐다.
이를 위해 전북자치도는 2027년까지 레벨4(특정구간 무인주행) 수준의 자율주행 상용차 상용화를 목표로 관련 기술개발과 실증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전북자치도는 지난해 12월 개소한 ‘미래모빌리티 테크센터’를 중심으로 친환경차 산업 전환의 거점을 구축하고 있다.
새만금산단에 들어선 미래모빌리티 테크센터는 도내 부품기업 미래차 전환을 지원하며, 친환경차 및 자율주행차 핵심부품 상용화와 공동연구 허브 역할로, 현재 센터에는 10개 기업이 입주해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전기차 배터리 성능 및 연소·폭발 등 안전성 분야 한국인정기구(KOLAS) 인증을 준비 중으로, 향후 부품 신뢰성 검증기관 기능을 수행할 계획이다.
현대자동차와 타타대우는 완주·군산을 중심으로 전기트럭과 전기버스의 양산체계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도는 이들 민간기업과 연계한 기술개발(2023년 21건, 2024년 13건)중이며 특히 ‘22년 개발된 6개 부품은 타타대우의 ’23년식 더쎈‘ 차량에 적용하여 1,700대 판매하는 등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자율주행 분야에서도 도는 실증기반 구축을 본격화하고 있다.
새만금 지역에 2018년 조성된 ‘새만금 상용차 주행시험장’을 시작으로, 2022년 완공된 ‘자율주행 테스트베드’에서는 10.5㎞에 이르는 자율주행 특화도로를 운영 중이다. 2026년까지는 군산~전주 구간 실도로 기반 자율주행 시험 인프라도 구축해 기능검증부터 기술 실증까지 원스톱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새만금 지역 상용차 자율주행 테스트베드에서는 상용차 자율주행 특성에 부합한 고속·자율주행 시험 및 검증이 가능하다.
전북자치도는 수소 상용차 산업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도는 2023년부터 2026년까지 4년간 총사업비 153억 원(국비 50억 원, 도비 54억 원, 완주군비 49억 원)을 투입해 ‘수소 상용차 실차 기반 신뢰·내구성 검증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2025년 9월 준공을 목표로 해당 시설은 완성차에 대한 신뢰성과 내구성을 평가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통해 전북자치도에는 ‘수소상용차 실차기반 신뢰·내구성 검증 인프라’를 포함해 ‘수소용품 검사지원센터’, ‘사용후 연료전지 사업화 지원센터’ 등 수소산업 핵심 인프라 집적화에 의한 미래 수소 에너지 R&D 및 기술 혁신 거점으로 도약하고 있다.
신원식 미래첨단산업국장은 “전기상용차, 자율주행 상용차 분야에서의 기술혁신과 안전성 강화를 위한 실증 및 연구개발에 대한 국가사업 발굴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지속가능한 성장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친환경차로의 전환을 선도하는 전북도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영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