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1일 완주전주 통합관련 합동 기자회견 |
전북도정이 전주 완주 통합이슈에 블랙홀처럼 빠져들어가며 공회전하고 있다는 지적이 시민사회와 의회 등 각계에서 제기되고 있다.
도 행정력 낭비논란과 인사시스템 부재문제는 이미 2022년 7월 민선 8기 출범때부터 불거져왔고 최근 들어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특례가 빠진 사실상 '무늬만 특자도'를 필두로, 전주 완주통합 완주군민 반발, 2023 세계잼버리대회 망신, 기업유치 빈수레, 2036 하계올림픽 준비소홀 등 각종 문제점을 여실히 도출하고 있다.
먼저 김 지사는 전주 완주통합을 포함한 핵심 과제들을 완수해 전북 100년 대계의 초석을 놓겠다는 당찬 계획을 평소 피력했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은 게 시실이고, 하계올림픽 유치 과정에서의 비밀논란과 이후 본선무대 유치대책 등을 놓고 전북도의회에서도 수차례 강한 질책이 이어지고 있다.
민선 8기 3년 전북도정에서 큰 변회를 이끌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지난해 1월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은 도민들의 체감을 여전히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고, 새만금 잼버리대회 실패의 충격여파는 지금도 진행형이다.
투자협약 등 기업유치도 기대 이하라는 평가다.
22일 전북도에 따르면 212개의 투자협약 대상 증 현재까지 실제 투자가 완료됐거나 가동중인 곳은 39곳에 불과하고 투자포기도 19곳에 달하는 등 실제 성과도출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민 구모(58)씨는 “사실 특자도가 뭔지 잘 알지도 못할 뿐더러 기업유치를 하겠다고 전북도가 떠들지만 여전히 지역경제도 침체돼 살기가 힘들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인사시스템 부재는 치명적이다.
김 지사 임기 초반부터 정무직에서 각종 문제가 발생한데 이어 부단체장 시절 택시기사와 불미스러운 사건에 휘말린 간부를 도청 고위직에 임명하는 등 뚜렷한 인사원칙이 없는 것도 문제다.
전북도의 허술한 행정시스템의 단면은 아직도 홈페이지에 최재용 익산 부시장이 농생명축산산업국장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대해 전북특자도 관계자는 "7월 들어 도 내부에서 각종 특강과 간담회를 통해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중이다"고 밝혔다.
/장정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