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해역에서 친환경 풍력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해상풍력 산업 인프라 구축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전북특별자치도는 19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CARBON KOREA 2025 개막식에서 해상풍력 블레이드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해상풍력 블레이드는 탄소섬유 복합소재를 핵심 원료로 사용하는 만큼, 이번 협약은 전북이 보유한 탄소소재 기술력과 해상풍력 산업을 연결하는 전략적 의미를 지닌다. 도는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와 군산 해상풍력 클러스터를 연계해 탄소복합소재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생태계를 완성한다는 복안이다.
전북도는 이날 개막식에서 경북과 함께 공동 후원기관으로 나서며, 도내 7개 기업과 전북관을 운영해 지역 탄소산업의 기술력을 알렸다. 협약에는 전북자치도와 군산시, 휴먼컴퍼지트, 신성소재, 삼우기업, HS효성첨단소재, 도레이첨단소재, 국도화학, 한국재료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탄소나노산업협회 등 10개 기업·연구 기관이 참여했다.
이들 기관·기업들은 ▲국산 블레이드 표준·공용화 모델 개발 ▲실증·양산·보급 기반의 공급망 인프라 및 생산설비 확충 ▲배후항만과 연계한 클러스터 조성 등 해상풍력 블레이드 산업의 전주기적 생태계를 마련하고, 국내 재생에너지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한다.
블레이드는 바람으로 발전기를 회전시키는 날개로, 해상풍력 발전기의 성능과 경제성을 결정하는 핵심 부품이다. 해상풍력 블레이드 클러스터는 국내 해상 풍력단지 보급과 수출을 위한 블레이드 표준화 및 공용화 연구개발(R&D)과 차세대 초대형급(20MW) 블레이드 인증시험 인프라, 상용화를 위한 시제품 제작 및 품질 검증 시스템 등을 갖추게 된다.
/장정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