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은의 ‘안러경중’과 신냉전 굳히기 성공할까(1)
    • 조성렬 / 북한대학원대학교 초빙교수
    • 북한의 외교적 반격이 시작됐다. 지난 9월 3일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제80주년 중국전승절 열병식에 참석하기 위해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태운 전용열차가 9월 1일 평양역을 출발했다. 김정은의 이번 베이징 방문은 2019년 1월 이후 6년 8개월만의 중국 방문이자, 첫 다자외교무대 등장이다. 이번 전승절 행사는 반미·반서방 국제연대 강화를 과시하는 자리인 만큼, 예상을 깬 김정은의 참석은 최근 이재명 대통령의 일본, 미국 방문을 통한 한·미·일 협력 강화에 대한 반격의 의미를 띠고 있다.

      제70주년 전승절 행사 때 천안문 망루에는 시진핑 주석을 중심으로 우측에 푸틴과 박근혜 대통령 등 외빈이 서고, 좌측에 장쩌민, 후진타오 등 전임 주석들이 자리했다. 이번엔 시진핑 절대권력을 상징하듯 중국원로들이 배제되고 그 대신에 시진핑 좌우로 외빈이 서 있을 것으로 보인다. 천안문 망루에 시진핑 주석을 중심으로 우측에 푸틴 러시아 대통령, 좌측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나란히 서서, 북·중·러 3국 정상이 한 장의 사진에 담기는 상황이 연출됐다.

      북한의 최고지도자가 다자외교무대에 참석하는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김일성 주석은 주로 사회주의 국가들과 양자외교를 펼쳤지만, 여러 차례 다자외교 무대에 참석한 바 있다. 김 주석은 한국전쟁 직후 1956년 2월 소련공산당 제20차 대회에 참석한 데 이어 6월 1일 ~ 7월 19일 소련을 포함한 동유럽 9개국을 순방했다. 1957년에는 소련 10월 혁명 40주년 기념식, 1959년 1월 소련 제21차 공산당 대회 및 같은 해 10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10주년 경축대회, 1965년 4월 비동맹회의 10주년 기념식에 참석했다.

      하지만 김일성 주석은 1967년에 북한이 ‘유일지도체계’를 수립하고 1974년 김정일을 후계자로 내정하면서 점차 다자외교 활동을 줄였다. 김 주석이 다자외교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1980년 5월 비동맹운동의 지도자인 유고슬라비아의 요시프 티토 대통령 장례식, 그리고 1983년 제7차 비동맹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1984년 5월 16일 ~ 7월 1일 소련을 포함한 동유럽 7개국을 순방한 것뿐이다.

      이에 비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재임 중 다자외교무대에 참석한 사례가 없다. 김정일이 해외에 나간 것은 김일성 주석의 수행원 자격으로 1965년 4월 인도네시아 비동맹회의 10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정도이다. 그는 대부분 평양에서 외국 정상을 만나거나, 열차를 이용해 중국과 러시아를 극비리에 방문하는 방식으로 양자외교를 전개했다. 이 때문에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은둔형 지도자’로 알려지기도 했다.

      그런 점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다자외교무대 등장은 김정일 때와 비교하면 새롭지만, 김일성 때와 비교하면 그다지 새로운 것은 아니다. 북한은 1980년 10월 제6차 당대회를 끝으로 열지 않다가 36년 만에 2016년 5월 제7차 당대회, 2021년 1월 제8차 당대회를 열었다. 2025년 6월 12차 당 전원회의에서는 내년 상반기 중에 제9차 당대회를 소집했다. 정기적인 당대회 개최가 ‘당의 정상화’ 과정이라면, 김정은의 다자외교무대 등장은 ‘외교의 정상화’라고 볼 수 있다.

      우리가 주목할 것은 김정은의 다자외교무대 첫 등장이라는 ‘형식’에 못지않게 그가 어떤 관점을 갖고 다자외교에 나서는가 하는 ‘내용’이다. 김정은의 최근 외교 행보는 현 국제정세를 ‘신냉전과 다극화’로 보는 그의 국제정세관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는 2022년 12월 제8기 6차 당 전원회의에서 “국제관계 구도가 ‘신냉전’ 체계로 명확히 전환되고 다극화 흐름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고 평가한 바 있다.

      김정은 위원장은 이러한 국제정세 인식 아래 2023년 12월에 열린 제8기 9차 전원회의에서는 외교 3원칙(당의 존엄 사수, 국위 제고, 국익 수호)을 발표하면서 ‘강국의 지위에 맞는 공화국의 외교’를 주문했다. 실제로 북한은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된 이후 국경을 재개방하며 외교활동을 재개했다. 전통적인 우방인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반미 전선에 서 있는 이란, 벨라루스는 물론 베트남과 라오스 등 글로벌사우스 국가들과의 교류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 외교전략구상의 핵심은 역시 중국과 러시아이다.

      김정은 위원장의 첫 외교포석은 러시아와의 관계개선이다. 2023년 7월 쇼이구 국방장관의 방북으로 시작된 북·러 관계 개선은 2023년 9월 김정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의 북·러 정상회담으로 이어졌다. 마침내 2024년 6월 푸틴 대통령이 24년 만에 평양을 방문해 양국 정상회담을 갖고 의 자동군사개입조항과 유사한 내용을 포함한 을 체결했다. 이 조약에 근거해 2024년 10월 마침내 북한 전투부대가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 파견되는 등 첫 해외파병의 기록을 세웠다.

      김정은 위원장의 다음 외교포석은 중국과의 관계증진이다. 북한으로서는 중국의 대규모 경제지원이 절실하지만, 대외무역에서 중국 비중이 98.3%(2023년 기준)로 과도한 대중 경제의존도는 오히려 중국발 체제위기가 될 수 있다. <계속>


      *  *  *
      본 칼럼은 시민언론 민들레에 기 게재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외부원고 및 기고는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s ⓒ 전북타임즈 & jeonbuktimes.bstor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전북타임즈로고

회사소개 | 연혁 | 조직도 | 개인정보보호,가입약관 | 기사제보 | 불편신고 | 광고문의 | 청소년보호정책 | 고충처리인 운영규정

54990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태진로 77 (진북동) 노블레스웨딩홀 5F│제호 : 전북타임스│ TEL : 063) 282-9601│ FAX : 063) 282-9604
copyright ⓒ 2012 전북타임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bn8800@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