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김제에서 농경문화의 대향연 펼쳐진다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대한민국 최초 4년 연속 대표축제인 제18회 김제지평선축제가 오는 29일부터 10월 3일까지 5일간 농경문화의 산실인 김제 벽골제에서 성대하게 열린다.

 

 

올해로 18회째를 맞이하는 김제지평선축제는 전통농경문화의 정체성을 계승하고 지역문화유산을 현세대의 감각에 맞게 구성한 축제로 하늘과 땅이 만나는 황금들녘의 비경‘지평선(horizon)’이라는 무형의 아이템을 통해 현재까지도 변함없이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것을 가장 잘 표현해 주는 축제이기도 하다.

 

 

특히, 금년은 「세계 속의 지평선! 세계로 향하는 지평선!」이라는 슬로건으로 축제를 찾는 관광객에게 새로운 즐거움과 잊지 못할 감동을 선사하기 위해 ‘6개 분야 60개 프로그램’으로 새단장하여 진행된다.

 

* 벽골제 쌍룡, 5년 연속 대표축제 향한 시작을 알리다.

 

올해는 축제의 상징과도 같은 벽골제 쌍룡을 배경으로 차별화된 콘텐츠 중심형 개막식과 대동성을 강화한 화합형 폐막식을 연출할 예정이다.

 

 

우선, 오늘(29일) 열리는 개막행사에서는 식전행사로 우석대학교 태권도 시범공연과 자매결연도시인 동해시의 색소폰 5중주 공연에 이어 김제시립합창단의 축하공연이 준비되어 있다. 공식행사에서는 정희운 제전위원장의 개막선언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축제의 시작을 알리게 되며, 개막기획공연으로 「새로운 도약, 새 지평을 열다!」라는 제목으로 벽골제 설화에 바탕을 둔 기획공연이 준비되어 있다. 이어 벽골제 건너편의 국립김제청소년농업생명체험센터에서는 국내?외 초청인사를 대상으로 전통음식인 설렁탕으로 메뉴로 한 리셉션이 1시간 동안 간소하게 치러질 예정이다.

 

 

축제 마지막 날인 10월 3일 대미를 장식할 폐막식은 「농자천하두레놀이」라는 폐막주제공연과 국악인 오정해의 국악공연으로 대동 한마당을 연출하고, 폐막식에 참석한 모든 이들의 소원을 기원하는 풍등 날리기 행사와 지평선 판타지쇼를 끝으로 피날레를 장식하게 된다.

 

 

2년 연속 벽골제 쌍룡 특설무대에서 열리는 개?폐막행사를 통해 벽골제 쌍룡이 지평선의 고장 김제와 지평선축제의 진정한 랜드마크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가장 한국스러운 축제로 세계를 향한 축제한류 연출

 

금년은 최근의 한류 열풍을 반영한 한국관광공사와 연계한 백제문화권 축제상품 개발로 일본인 관광객들에게 백제문화와 전라도의 가을을 보여줄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UN에서 ‘3년 연속 농업 관련의 해‘선정에 따라 2014년(세계 가족농업의 해-가족대항 초가집 만들기 프로그램), 2015년(세계 흙의 해_흙 체험부스)에 이어 2016년 ’콩의 해‘를 맞아 종자홍보 체험관과 두부홍보?판매관을 운영하여 생명의 근원인 「농업」의 중요성을 축제장을 찾은 이들에게 알릴 계획이다.

 

 

여기에 더해, 외국인이 참여할 수 있는 농경문화 체험 프로그램으로는 「벽골제 횃불 퍼레이드」, 「모락모락! 아궁이 쌀밥짓기 체험」, 「으랏차차! 전국 및 외국인 줄다리기」, 「글로벌 벼베기 체험」, 「세계인 대동 연날리기」, 「글로벌 그네뛰기 경연」, 「외국인 전통혼례 체험」등이 한층 다듬어져 준비되어 대표축제다운 면모를 보일 계획이다.

 

 

 

* 전통농경문화를 관광객이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접목

 

김제지평선축제 하면 빠질 수 없는 「벽골제 전설 쌍룡놀이」와 「풍년 기원 입석줄다리기」는 김제지역 설화와 지방민속자료를 토대로 지역주민이 직접 참여하고 관광객들과 함께 어우러지는 대동 프로그램으로, 금년은 killer contents로서 한층 업그레이드되어 진행된다.

 

 

또한, 향후 김제지평선축제를 이끌어 갈 농경문화 콘텐츠로 ‘농악’과 ‘농주’의 붐 조성을 위해 「한민족의 얼! 농악 기획공연(농악아, 놀자!)」과 「대한민국 막걸리 페스티벌」은 “축제 속의 축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성대하게 준비하고 있다.

 

* 지역문화?관광자원 연계 및 주?야간 상시 프로그램 운영

 

김제지평선축제는 향후 지속가능한 축제로의 전환을 위해 지역문화?관광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농촌마을 체험과 숙박이 어우러진 「농촌에서의 하루」와 「지평선팜스테이」를 확대 운영하며, 儒佛문화를 통한 정신수양을 위해 마련한 「학성강당 예절교육」과 「금산사 템플스테이」가 준비되어 있으며, 다양한 체험 위주의 「징게쟁이 전시?체험관」과 「생태놀이 체험장」이 축제기간 내내 상시 운영된다.

 

 

또한, 지평선축제의 주무대인 벽골제가 수리시설임에 착안하여 2014년부터 마련한 수상마당의 프로그램 확대와 주?야간 상시적 운영을 위한 야간 경관조명이 확대 운영된다.

 

 

다양한 볼거리 제공과 관광객 만족도 제고를 위해 공간별 주제에 맞는 디스플레이 연출과 야간 체류형 프로그램이 수시 운영된다. 지평선축제의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농경사주제관의 외벽에 농경문화 이미지를 삽입하였으며, 주재관 옆 농지에는 유색벼를 활용한 대지아트를 조성하였다.

 

 

여기에 더해, 축제장 곳곳에 대형으로 짚 조형물과 윈드배너, 토피어리 조형물을 설치하여 관광객의 눈을 즐겁게 할 예정이다. 또한, 「김제 벽골제 야행(夜行)」이라는 주제로 야경(夜景), 야사(夜史), 야화(夜華), 야로(夜路)의 4가지 볼거리를 마련하여 축제기간 중 언제 오더라도 볼거리가 있는 행사장이 조성된다.

 

* 축제 마니아를 위한 배려, 작년과 달라진 개선 노력 돋보여

 

금년에는 축제장을 찾은 관광객들에게 편의시설 확충 등 축제 인프라 개선을 통해 전년과 달라진 모습을 보이기 위해 노력한다.

 

 

대중교통 이용 유도를 통한 권역별 셔틀버스와 주차시설이 확대 운영되고, 코레일과 연계한 임시열차 운행과 외국인 전용 수도권 셔틀버스 운행으로 수도권 내?외국인 관광객들의 축제장 방문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신정문(벽골지문) 연접 주차공간과 행사장을 연결할 지하보도가 신설되었다.

 

 

또한, 휠체어?유모차 전용부스, 이동식 화장실, 통역요원을 확대 운영한다. 쉼터 및 안전펜스 확대와 미아방지를 위한 명찰 등 세심한 부분까지도 신경 써 대표축제다운 모습을 선보일 예정이다.

 

 

관광객들의 축제장 진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축제 홈페이지에 실시간 교통정보를 신설하였으며, 축제 스마트폰 앱을 보완하여 젊은층과의 거리감을 좁히기 위해 노력하였고, 우천시를 대비하여 국립김제청소년농업생명체험센터, 실내체육관, 농경사주제관을 활용한 우천 대비책을 마련하였다.

 

* 김제평야의 황금물결과 함께 새만금 드라이브 코스 추천

 

시기적으로 매년 김제지평선축제가 열리는 기간에는 축제의 배경인 김제 금만평야의 황금들녘과 화사하게 핀 코스모스 400리길이 주변에 어우러져 있어 면면히 이어져 온 농경문화의 진수를 맛볼 수 있게 된다.

 

 

알찬 행사가 너무 많아 하루로는 부족한 김제지평선축제는 축제장 진입 전후로 새만금을 경유한 드라이브 코스도 아름다워 여유가 있다면 축제로부터 잠깐 벗어나 주변의 관광지를 둘러본 후 행사장에 다시 방문하면 그 느낌이 사뭇 다르게 와 닿을 듯하다. 여기에 더해, 김제 서부지역 끝에 위치한 심포항과 망해사에서의 서해 일몰은 심신을 충분히 풀어줄 것이다.

 

 

황금들녘과 코스모스 꽃길을 따라 서해안의 저녁노을을 보며 33km의 동북아의 허브 새만금 방조제까지 쉴새없이 달려본다면 일상의 묵은 스트레스가 해소될 거라 믿는다.

 

 

또한, 9월까지 피는 하소백련 청운사에서 맛보는 은은한 백련차와 별미 연잎밥, 탱화 감상 그리고 천년고찰 금산사의 산사체험과 주변 동심원, 금산교회, 수류성당 등을 돌다보면 김제문화의 뿌리를 온 몸으로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을날의 은은한 여유까지 만끽할 것이다.

 

* 김제지평선축제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이건식 김제시장은 “김제지평선축제는 화천산천어축제, 자라섬재즈페스티벌과 함께 대한민국 문화관광축제의 최고봉에 등극한지 벌써 4년째로 금년 축제를 통해 5년 연속 대표축제 도약과 글로벌 축제의 자생력을 갖추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였다.”면서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평생 잊지 못할 가을날의 추억을 만드시길 원한다면 올 가을엔 반드시 코스모스 꽃길과 허수아비가 반기는 김제지평선축제장에 오시길 바란다.”고 밝혔다./김제 김 정 대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