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립국악원(원장 이태근) 창극단(단장 조통달)이 준비한 '봄날의 풍경소리' 공연이 오는 18일 저녁 7시 30분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명인홀에서 펼쳐진다.
이번 공연은 전라북도립국악원의 대표상설공연 '2019 목요국악예술무대'의 상반기 두 번째 공연으로 '봄날의 풍경소리'을 주제로 아름다운 봄의 정취와 우리 소리의 멋을 오롯이 느낄 수 있는 소리의 향연 무대로 준비한다. 창극단원들의 뛰어난 기량과 구성진 소리에 더불어 신명을 일으키는 장단은 봄의 감성을 충분히 자극하게 될 것이다.
공연은 총 다섯 개의 작품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무대로는 판소리‘흥보가’의 한 대목을 가야금에 얹어 노래 부르는 가야금 병창 '제비노정기'를, 두 번째 무대는 판소리 심청가 中 '황성 올라가는 대목'으로 감정을 풍부하게 해 정교한 시김새나 절절한 성음을 구사하는 대목을 선보인다.
세 번째 무대는 입체창 '고고천변'으로 수궁가 中 한 대목으로 별주부 눈에 비친 세상풍경을 묘사한 대목으로 좋은 노랫말과 뛰어난 소리가 일품이다. 네 번째 무대는 풍자와 해학이 어우러지는 단막창극 '마당쇠 글 가르치는 대목'을, 다섯 번째 무대는 봄의 아름다운 풍경을 흥겹게 노래한 민요 '시집가는날, 내고향 좋을씨구'로 마무리한다.
여는 무대로는 판소리 ‘흥보가’의 한 대목을 가야금 선율에 얹어 부르는 가야금병창 '제비노정기'로 소리에 최삼순, 박영순, 문영주, 이연정, 김춘숙 단원과 장단에 김정훈 단원이 무대에 오른다. '제비노정기'은 흥보에게 은혜를 입은 제비가 강남에 갔다가 이듬해 봄, 보은표 박씨를 물고 날아오는 여행과정을 가야금 선율에 맞춰 노래로 엮어 들려준다.
두 번째 무대는 소리에 김세미, 고수에 박추우 단원이 선보이는 판소리 심청가 中 '황성 올라가는 대목'이다. 심봉사가 뺑덕이네를 데리고 황성맹인잔치에 가던 중 황봉사와 뺑덕이네가 몰래 도망가게 되고, 심봉사는 홀로 남아 자탄하는 대목을 정교한 시김새와 해학적인 묘사로 구성진 소리와 재미를 더한다.
세 번째 무대는 입체창 '고고천변'으로 수궁가 中 한 대목으로 별주부가 병든 용왕을 위해 토끼 간을 구하러 수궁에서 육지로 나와 아름다운 산천경치를 노래한 대목으로 김광오, 이충헌, 유재준, 김성렬, 박건, 이세헌 단원이 꾸미는 무대이다. 창극단 남자 단원들의 기백과 흥겨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네 번째 무대는 단막창극 '마당쇠 글 가르치는 대목'으로 구성진 입담과 탄탄한 연기력을 겸비한 놀보 역에 김도현 단원이, 마당쇠 역에 박현영 단원이 출연해 해학과 풍자를 느낄 수 있는 무대를 선보인다. 관현악단 수성반주로 즉흥성과 극의 활기를 더한다.
다섯 번째 무대는 가마타고 시집가는 옛 풍경의 정취와 알뜰한 사랑을 노래한 '시집가는 날'과 내 고향의 멋진 풍경들을 노래한 '내고향 좋을씨구'로 차복순, 최삼순, 장문희, 배옥진, 최경희, 천희심, 한단영, 박수현 단원이 관현악단 수성반주에 맞춰 부르며 대미를 장식한다. 봄바람에 꽃향기를 실어 나르듯 민요가 실어 나르는 가사와 흥겨움은 무대와 객석이 하나 됨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날 공연에는 창극단 고양곤 단원이 사회를 맡아 소리의 깊은 멋과 눈높이를 낮춘 해설로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공연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목요국악예술무대는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국악원은 보다 편안한 공연 관람을 위하여 홈페이지를 통한 사전예약제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예약을 하지 못한 관객을 위해 공연 당일 1시간 전부터(저녁 6시 30분) 현장 좌석권을 선착순 무료 배포한다.
공연예약 : 국악원 홈페이지(kukakwon.jb.go.kr) (8세 이상 입장 가능)
예약문의 : 063-290-5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