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도지사가 민선 8기 후반기를 맞아 새로운 정책협력관을 임명하면서 여야 협치와 도정 변화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번 인사는 '협치'와 '실리'를 표방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실질적인 성과와 역할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어 신임 협력관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다.
이서빈 도 정책협력관(임기 1년·연임 가능)이 지난 12일 김관영 지사로부터 임명장을 받고 업무를 시작하면서 정책협력관은 전임 박성태 협력관에 이어 연이어 보수 인사가 맡게 됐다. 정책협력관은 도지사 임명 별정직 3급으로, 도의 정무적 대외 활동과 도정 주요 현안에 대한 정책 결정을 보좌하는 자리다.
여당 출신 인사 임명은 지역구에 여당 의원이 없는 전북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만큼, 구체적 목표 설정과 달성 노력을 통해 '형식적 직책'이라는 비판을 극복해야 한다는 숙제를 안고 있다.
정책협력관의 핵심 임무는 중앙당과 정부와의 가교 역할이다. 전북의 목소리가 얼마나 중앙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느냐가 관건이다. 특히 기재부와의 관계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지난해 국가예산 편성 과정에서 기재부와의 갈등으로 인해 전북 주요 사업들이 난항을 겪은 바 있어, 원활한 협력 관계 구축이 필요하다.
여당 인사라는 이유로 편향된 활동을 하지 않고 여야를 아우르는 균형 있는 협치 실현이 요구된다. 전북 발전을 위해서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전북지역 국회의원들과의 소통 강화도 중요하다. 지역에서는 여전히 정책협력관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다. 일각에서는 민주당의 자리를 빼앗겼다는 불만과 함께 보수 진영 출신 협력관의 성과에 대해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
신임 이 정책협력관은 전북 발전에 주력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는데 강점으로는 20여 년간의 정당 활동 경험과 도의원 경력을 내세웠다.
이 협력관은 "가벼운 자리가 아닌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정부와 중앙당, 국회와의 연결고리를 찾아 소통이 잘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김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