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가 구 자림복지재단의 청산을 마무리하고 해당 부지에 장애인 복합커뮤니티 타운을 조성하기로 했다. 이는 단순한 법적 절차를 넘어서 장애인 복지 정책의 전환점이 될 중대한 결정이다. 특히, 장애인 학대 사건으로 폐쇄되었던 시설이 이제는 장애인의 자립과 복지를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를 갖는다. 이번 사업은 장애인의 자립, 고용, 교육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전북도는 총 900억 원을 투입, 2027년까지 장애인 복합커뮤니티 타운을 조성한다. 이는 단순한 복지 지원이 아니라 장애인의 삶의 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중요한 발걸음이라 할 수 있다.
지난해 개소한 장애인종합지원센터는 장애인들에게 운동재활, 인지·심리안정, 의사소통 지원 등 맞춤형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자립생활 체험 및 일상생활 적응 교육을 위한 체험홈도 운영되며 이를 통해 장애인들이 실질적인 사회 적응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특히 장애인 고용 활성화를 목표로 27년에 개원할 장애인고용교육연수원과 장애인 직업중점 특수학교는 장애인의 취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장애인고용교육연수원은 291억원의 장애인고용촉진재활기금을 활용해 장애인과 고용주를 위한 전문 교육과 연수 공간을 조성하며 장애인 직업중점 특수학교는 380억원을 투입해 18개 학급을 운영하는 직업 중심 특수학교로 설립된다.
이러한 교육과 고용 지원이 결합된 체계적인 접근은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을 돕는 데 있어 필수적이다. 이와 함께 전주시가 추진해 27년에 개원할 예정인 장애인일자리종합타운은 장애인의 일자리 지원과 기업 연계를 위한 종합 시설로, 총 157억원이 투입된다. 이는 장애인의 고용 기회를 실질적으로 확대할 것이다. 이제 중요한 것은 이러한 계획이 단순한 시설 조성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운영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는 것이다. 장애인의 복지를 위해서는 하드웨어적 인프라 구축뿐 아니라 운영 방식의 세심한 설계가 필요하다. 각 시설이 장애인의 필요를 충족시키고 그들이 독립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충분한 프로그램과 지원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과거 자림원에서 발생했던 장애인 학대 사건은 우리 사회가 장애인의 인권과 복지를 얼마나 소홀히 해왔는지를 보여주는 뼈아픈 사례였다. 이제는 이러한 과거의 아픔을 딛고 장애인들이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사회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 장애인 복지는 특정 집단을 위한 시혜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포용성을 높이는 길이다. 정부와 지자체, 기업, 시민사회가 함께 힘을 모아 장애인이 차별 없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이번 장애인 복합커뮤니티타운 조성 사업이 장애인들의 삶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장애인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온전히 자리 잡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복지 국가의 모습이다. 전북자치도의 이 같은 노력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