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북소방 '도내' 축사화재 고위험 등급 분류 집중관리

전북특별자치도는 화재위험이 높은 도내 축사를 선별해 등급별로 나눠 집중 추진한다.

축사화재 집중 관리는 화재 통계 및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실효성 있는 예방 대책이다.

특히 최근 5년간 축사에서 발생한 화재는 총 233건으로 확인됐다.

화재발생에 따른 피해에서 돈사 79건(34%) 재산피해 126억 8,500만 원(67%), 우사 75건(32%) 재산피해 1억 7,800만 원(1%), 계사 65건(28%) 재산피해 54억 4,400만 원(29%)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막대한 재산피해가 집중되는 돈사와 계사를 중심으로 선제적이고 선별적인 화재 예방 관리의 필요성이 커졌다.

소방본부는 이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1일까지 도내 돈사·계사 1,962개소 대상으로 화재위험도 전수조사를 실시해 위험등급을 분류했다.

이번 분류는 과거의 일괄적 점검 방식에서 벗어나, 위험도 기반의 예방 체계로의 전환한 것이 핵심이다.

점검에서는 '노후도, 건축 규모, 동 간 거리, 소방관서 접근성, 화재안전조사' 이력 5개 항목을 계량화해 A부터 D등급으로 분류했으며, 그 결과 A등급(7점~10점) 2개소, B등급(5~6점) 285개소, C등급(3~4점) 725개소, D등급(0~2점) 950개소로 나타났다.

실제, 2024년 돈사와 계사에서 발생한 21건 중 85%가 C·D등급에서 발생해 고위험 축사를 중심으로 한 집중 관리 필요성을 다시금 확인시켰다.

올해부터는 C·D등급 축사를 중심으로 화재안전조사, 현장방문행정, 순찰 및 훈련 등 주요 활동이 대폭 개편된다.

또한, 가축 질병 발생 시 현장 접근이 제한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및 조류인플루엔자(AI) 등 위기 상황에 대비한 단계별 맞춤형 대응 기준을 마련했다.

위기 단계는 ‘관심·주의·심각’의 3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에 따라 화재안전조사, 현장방문행정, 현지적응훈련, 화재예방순찰 등을 탄력적으로 조정해 운영한다.

특히 고위험 축사에 대해서는 보직 간부가 직접 ‘안심통화제’를 통해 관계인에게 안전 메시지를 전달하고, 주요 구조물 및 소방용수 위치 등 현장 정보를 미리 숙지하도록 도상훈련을 통해 대응력을 강화한다.

그간 소방서 주도의 별도 교육으로 이뤄졌던 소방안전교육은 올해부터 축산 종사자 정기교육 시기에 맞춰 소방안전강사가 직접 참여하는 방식으로 개선된다.

이와 함께 B~D등급 축사를 대상으로 한 소방시설 보강 및 교체 지도도 강화된다.

도 축산과는 ‘2025년 축사시설 화재안전시스템 지원 사업’도 병행 추진한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전국 최초 '전북특별자치도 축사시설 화재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조례'를 오는 2025년 하반기 제정할 계획이다.

조례안에는 도지사의 책무, 화재예방계획 수립, 안전시설 지원, 종사자 교육 등 예방행정 전반에 대한 사항이 담길 예정이다.

이오숙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장은 “축사는 구조적·환경적으로 화재에 취약한 시설인 만큼, 위험도를 정확히 진단하고 등급별로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대책은 단순한 점검을 넘어, 위험도 기반의 대응체계와 유관기관 협업을 통해 도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예방행정으로 나아가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태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