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는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 교육을 실시했다.
교육은 지난 25일 도청 공연장에서 공공기관 구매·계약 담당자 5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번 행사는 보건복지부 주관, 전북자치도와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 공동 주최했다.
이날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에서 생산되는 제품에 대한 공공기관 우선구매 확대가 핵심 주제로 다뤄졌다.
교육에서는 2025년부터 중증장애인생산품의 법정 의무구매 비율이 기존 대비 상향(1.1%)되는 등 주요 제도 변화에 대해 집중 안내됐다.
또 △우선구매 제도 개요 △구매 절차 △활용 방법 등에 대한 실무 중심 교육이 함께 이뤄져, 참석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교육과 함께 장애인생산품 전시·홍보 부스도 병행 운영됐다.
참석자들이 제품을 직접 살펴보고 특장점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전북자치도에는 현재 장애인직업재활시설 31개소와 장애인생산품 판매시설 1개소가 소재하고 있고 복사용지, 행정봉투 등 사무용품부터 김, 누룽지, 떡 등 다양한 식품류 품목들도 생산하고 있다.
양수미 전북자치도 장애인복지정책과장은 “교육을 통해 공공기관 실무자들의 인식이 변화하고, 그 관심이 실질적인 구매로 이어지길 기대한다”며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는 단순한 물품 구매가 아니라 장애인들에게 더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고 자립의 기반을 만드는 사회적 투자”라고 강조했다. /김영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