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농어촌公, 더 촘촘해진 농업용수 수질 조사! 안심하고 안전하게

농업용 저수지 등 1,053개소 대해 연 7회 수질 조사 실시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업용수 안전성 강화 위한 ‘농업용수 수질측정망조사’를 확대한다고 29일 밝혔다.

농어촌공사는 이번 수질측정망조사를 통해 '조사 범위와 항목, 횟수'를 강화해 촘촘한 수질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려는 방침이다.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조사’는 지난 1990년부터 ‘국가 물환경측정망’의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 조사는 농업용 저수지와 담수호를 대상으로 이뤄지며, 조사 결과는 농업용수 수질관리와 오염 대응은 물론,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공사는 수질 조사를 한층 강화하기 위해 조사 범위와 항목 등을 확대해 오고 있다.

올해에는 지난해 975개소에서 78개소 늘어난 1,053개소에 대해 수질 조사를 시행하며, 연 4회 진행하던 정기 조사는 연 7회로 확대했다.

특히, 중금속에 대한 조사를 대폭 강화했다.

연 1~2회에 그쳤던 조사를 연 4회로 확대하고 '카드뮴, 납, 비소' 등 인체와 농작물에 유해한 물질을 조기에 탐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외 공사와 지자체 등이 관리하는 저수지와 담수호 1만 7,000여 개소에 대한 수질 조사를 병행한다.

다층적 조사 체계는 오염 징후를 조기에 파악하고,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 김이부 환경관리처장은 “더욱 촘촘해진 수질 조사 체계는 단순한 수질 모니터링을 넘어, 오염 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용수 이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영태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