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년 김관영 전북도정이 전임 김완주, 송하진 지사때와 달리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채 각종 비위와 갑질 등으로 헛돌고 있다.
간부급들의 일탈, 직원들의 조직기강 해이, 무사안일주의가 도정 전반에 뿌리내렸지만 전북도는 정작 업무성과 생색내기와 이벤트에만 열중하는 모양새다.
18일 전북도와 의회, 시민사회 등에 따르면 최근 1년 남짓 사이 갑질, 업무추진비 등으로 물의를 빚은 부이사관급 이상은 3명이며 서기관급으로 확대하면 4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강력한 처벌이나 사후관리 등은 상대적으로 미흡해 도청 공무원들의 불만이 팽배하다.
실제로 김 지사가 야심차게 영입한 모 간부는 갑질 등으로 사직했고, 한 국장급 간부는 아들이 운영하는 사업장에서 명절 선물용 상품을 다량구매하며 이해충돌 의혹 등으로 비난을 자초했다.
또 산하기관 전 간부는 스토킹 등으로 물의를 빚는 등 도 간부공무원들의 일탈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북도는 이 가운데 일부 간부를 대기발령 조치했지만 재택근무나 연차, 휴가 등을 쓰고 제때출근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관영 도정은 지난 2022년 7월 출범 초부터 순탄치 않았다.
지역을 순방하며 진행하는 도민과의 대화에서 잡음이 일고 초대 정무수석은 음주운전으로 사퇴하는 등 각종 구설에 휘말렸다. 지난 2023년에는 전북도가 똑같은 갑질 가해자에 대해 상반된 인사를 단행했다는 주장이 도의회에서 제기되는가 하면 지난해에는 김 지사의 홍보 첨병을 담당하는 대변인실 갑질논란이 불거져 지역 뿐이 아니고 서울까지 전국적인 망신을 샀다.
이에 지난해 안병일 비서실장과 박용석 서울본부장을 맞교대하며 일부 책임을 묻고 분위기쇄신을 꾀하고 있지만 아직 성과로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도청 허리인 팀장급 직원은 이에 대해 “예전보다는 많이 줄었지만 아직도 일부 간부들의 갑질과 고성, 비서실, 선거캠프 줄대기, 보여주기식 성과요구 등이 이어지고 있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이 같은 문제점은 도정질문 등을 통해 도의회에서도 꾸준히 제기되는 등 점차 도 행정을 넘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북도 관계자는 “올 상반기 이틀 간 간부급을 대상으로 청렴, 새로운 조직과의 조화, 갑질문제 등을 집중교육해 현재 일정부분 성과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전주완주 통합 등 현안이 첩첩산중인 전북도는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대책의 일환으로 내년 5월까지 3단계에 걸친 단계별 대규모 공직감찰을 시행해 기강 해이, 소극행정, 갑질행위를 사전에 적발한다고 밝혀 귀추가 주목된다.
/장정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