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사설] 기상이변 더 이상 예외적 사건 아니다


지난 주말을 전후해 100여년 빈도의 극한폭우가 전국을 강타한 가운데 특히 광주·전남, 경남, 경기 등 수도권 일대에서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했고, 전북도 예외는 아니었다. 다행히 전북에서는 인명 피해가 보고되지 않았지만, 가축 폐사와 농경지 침수 등 크고 작은 피해가 속출했다. 관계 당국은 현재 피해 복구와 응급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제는 피해 수습을 넘어 향후 더욱 빈번해질 수 있는 기상이변에 대비한 장기적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나흘간 도내 전역에 평균 214.4㎜가 넘는 비가 내렸다. 순창과 남원 등 일부 지역에서는 마치 장마철 태풍이 연이어 지나간 듯한 기록적인 폭우가 이어졌다. 이로 인해 8개 시·군에서 126세대 199명이 대피하는 등 주민들이 불안에 떨었고 아직까지 9세대 13명은 귀가하지 못하고 있다. 주택이 반파되거나 침수되는 등 피해가 발생했고, 남원과 순창의 축사에서는 닭과 오리 등이 폐사했다. 농경지가 침수되고 일시적인 정전까지 겹치면서 피해 규모는 점점 커지고 있다.

전북도는 비상 대응 2단계를 가동하고 공무원, 소방·경찰·군인 등 7쳔여명의 인력을 투입해 대비했다. 하지만 매년 반복되는 여름철 호우 피해를 생각하면, 이번 대응 역시 ‘임시방편’에 그쳤다. 정부와 지자체는 단기적인 응급 복구를 넘어 재난 대응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특히, 극한폭우가 언제든지 다시 찾아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성 집중호우가 잦아지고, 한 번 발생하면 단시간에 엄청난 피해를 낸다. 따라서 재해 취약지역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상시 예찰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위험지역 주민들에게 신속히 경보를 전파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보완하고, 하천 및 배수 시설을 항구적으로 정비해야 한다. 저지대나 산사태 우려 지역은 상시 점검하고, 필요하다면 이주 대책까지 마련하는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피해 이재민에 대한 지원도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 응급구호물품 지원은 물론, 주택 복구 및 가축 피해 보상까지 체계적으로 진행돼야 한다. 특히 농민들에게는 현실적인 보상과 함께 향후 재해 예방을 위한 기반시설 지원이 절실하다. 재해가 발생할 때마다 반복되는 피해 구조에서 벗어나려면,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긴밀한 협력과 재정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

이번 폭우는 우리에게 명확한 교훈을 던진다. 기상이변은 더 이상 ‘예외적 사건’이 아니라 상시적 위험 요인으로 자리 잡았다. 안전 인프라와 방재시스템의 전면 재점검 없이는 이후에도 유사한 재난이 반복될 수 있다. 전북은 이번 피해에서 교훈을 얻어, 선제적 대응 체계를 마련하는 데 주저해서는 안 된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번 재난을 계기로 기후위기 시대에 맞는 ‘통합 재난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일은 어떤 정책보다도 우선해야 한다. 더 이상 ‘비가 그치면 끝’이라는 안일한 대처는 용납될 수 없다. 빠른 피해 복구와 함께 재난 예방을 위한 철저한 대책이 시급하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