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사설] 민선 8기 전북도정, 실패의 그림자 지울 때다


민선 8기 전북도정이 출범 3년을 맞았지만, 도민들이 기대했던 성과는 찾아보기 어렵다. 기업 유치와 지역 경제 활성화는 물론, 전북특별자치도 출범 이후의 변화와 체감 효과도 미미하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더욱이 내부 구성원들의 비위와 잇따른 인사 논란, 전주·완주 통합 이슈에 행정력이 빨려 들어가면서 도정이 사실상 공회전하고 있다는 우려까지 터져 나온다.

김관영 지사는 취임 직후 “전북 100년 대계의 초석을 놓겠다”는 포부를 밝혔지만 성과는 초라하다. 지난해 1월 전북특별자치도가 출범했음에도 도민들은 “무엇이 달라졌는지 체감할 수 없다”고 토로한다. 특례조항이 빠져 사실상 ‘무늬만 특별자치도’라는 비판도 끊이지 않는다. 기업 유치 성과도 기대에 못 미친다. 전북도가 체결한 212개의 투자협약 중 현재 가동 중이거나 실제 투자가 완료된 기업은 39곳에 불과하고, 투자 포기 사례도 19곳이나 된다. 이는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 부재와 함께 도정의 전략적 실행력 부족의 결과다.

2023 새만금 세계잼버리대회의 파행 운영으로 인한 국제적 망신 역시 여전히 도정의 발목을 잡고 있다. 당시 실패로 인한 후유증은 전북의 대외 이미지 실추뿐만 아니라 지역개발 전략 전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불어 2036 하계올림픽 유치를 둘러싼 비밀주의 논란, 본선 유치 대책 미흡 문제 등은 도의회에서 수차례 질타를 받았다. 특히 전주·완주 통합 문제는 도정의 에너지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되고 있다. 양측의 첨예한 입장차로 논의는 답보 상태에 놓여 있는데, 정작 행정력은 이 사안에 매달리며 도민 삶을 개선할 정책 동력이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전북도정이 지역 발전의 핵심 과제보다는 정치적 이슈에 치중해 있다는 우려다.

내부 인사시스템의 허술함도 문제다. 김 지사 취임 초반부터 정무라인을 둘러싼 각종 잡음이 이어졌고 과거 불미스러운 사건에 연루된 고위 간부를 주요 보직에 앉히는 등 원칙 없는 인사가 반복되고 있다. 익산 부단체장 시절 택시기사와의 마찰로 논란을 빚었던 인물이 요직에 발탁되는 사례도 실망감을 안겼다.

전북도는 최근 각종 특강 등을 열어 내부 분위기를 쇄신하려 하고 있지만 이는 사후약방문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많다. 도민들이 바라는 것은 보여주기식 대책이 아니라 실질적인 변화다. 기업유치와 일자리 창출, 청년인구 유입, 지역관광 활성화 등 당장 눈에 보이는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책 역량이 절실하다.

민선 8기 임기는 아직 1년여가 남았다. 김 지사는 지금이라도 도정의 우선순위를 재정비해야 한다. 전북도의 실질적 권한 확보를 위해 중앙정부와의 협상력을 높이고 기업들이 투자할 수 있는 인프라와 인센티브를 마련해야 한다. 동시에 인사 원칙을 바로 세워 공직사회에 신뢰와 긴장감을 불어넣는 것이 급선무다. 지금처럼 구호만 요란하고 결과가 따르지 않는다면 남은 임기 동안 전북도정은 더욱 신뢰를 잃게 될 것이다. 도민들이 원하는 것은 정치적 이벤트가 아니라, 전북의 내일을 책임질 실질적인 변화와 성과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