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주자연생태관 '생태교육의 장' 교육모델 주목

최신 전시기법 도입 및 전시공간 개편..아이와 도시가 함께 자라는 공간 자리매김

전주자연생태관이 탄소중립시대를 맞아 시민들이 생태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전주시는 지난해 11월 재개관한 전주자연생태관이 시민과 관광객 등 관람객이 보고 듣고, 직접 만지고 참여하며 자연을 감각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생태관 1층 ‘Hands-on 생태관’에는 전주천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들을 소개하는 코너와 전주의 대표 생물인 쉬리를 만날 수 있는 수족관, 반딧불이와 닥터피쉬 체험공간이 마련됐다.

건물 2층은 ‘숲속 생태 놀이터’를 콘셉트로 꾸며져 이곳을 찾는 아이들이 자연 속에서 캠핑 놀이를 하며 자연과 친구가 되고, 낚시 체험이나 라이브 스케치 코너에서는 상상력과 창의성을 함께 키울 수 있다.

이처럼 전주자연생태관이 새로운 감각으로 자연을 접하는 복합체험의 공간으로 변화하면서 재개관 이후 지난달 말까지 누적 관람객 수가 9만 명을 돌파하기도 했다.

또 시는 전국 최초로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유아기후환경교육관’을 전주자연생태관에 새롭게 조성해 생태교육의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탄소중립이라는 도시 철학을 실천하는 새로운 기후변화대응 교육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유아기후환경교육관에서는 아이들이 환경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고, 부모와 함께 실천적 행동을 경험할 수 있는 가족 참여형 체험 프로그램 △탄소저금통 나무 심기 △탄소저장고(다용도걸이) 만들기 △천연샴푸 만들기 등의 체험을 통해 환경 문제에 대해 자연스럽게 인식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격주 토요일 초등학생을 대상 생태체험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전주천의 자연과 문화를 연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이 활동은 계절마다 다른 주제를 통해 생명의 다양성과 생태계의 소중함을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풀어낸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전주자연생태관은 전 연령을 아우르는 생태학습의 거점으로 기능하며, 탄소중립 시대를 살아갈 시민 모두를 위한 열린 학교로 확장되고 있다.

무엇보다 전주자연생태관은 전주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특별한 생태 경험을 제공하는 문화관광지로도 주목받고 있다.

시는 앞으로도 교육과 체험, 관광이라는 3개의 축을 기반으로 전주다움이 깃든 생태도시로의 전환을 실현할 예정이다.

올해 추진중인 생태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내년부터는 연령별·발달단계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추가 개발해 지역 환경단체와의 협업 프로그램도 공동 운영할 계획이다. 이어 오는 2027년에는 최신 환경 이슈와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를 반영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부모와 함께하는 지속가능한 생활 실천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등 미래지향형 생태공간으로 나아갈 계획이다.

조미영 전주시 환경위생과장은 “생태 문제는 더 이상 일부 전문가나 환경단체의 몫이 아닌, 모든 세대가 함께 참여해야 할 공동의 과제”라며 “전주자연생태관이 환경 감수성을 일깨우는 시민 교육의 장이자, 전주가 진정한 생태도시로 도약하는 핵심 거점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소민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