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정동영 “지금은 ‘평화의 시간’이어야”

- 2026년을 ‘한반도 평화의 해’로 대전환 해야
정동영,“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 주장은 고정불변이 아니라, 우리 하기에 따라 평화공존관계로 전환 가능”
이정철, “우리에게 평화는 절대가치, 선제적 평화조치를 통해 신뢰구축해야
정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를 맡고 있는 의원연구단체 ‘동북아평화공존포럼’은 17일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이재명 정부, 평화공존전략’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는 포럼 대표인 정동영 의원과 정준호 포럼 책임연구의원, 김문수 의원, 김상욱 의원, 박선원 의원, 이정헌 의원, 정진욱 의원 등이 참여하였다.

이날 토론회는 최근 알래스카에서의 미러 정상회담, 한미 정상회담, 김정은 총서기가 참여한 중국의 전승절 행사 등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가 숨 가쁘게 전개된 가운데, 트럼프 2기 정부의 출범으로 촉발된 다극화 시대의 국제질서 재편기에 출범한 이재명 정부의 한반도 평화공존전략을 찾기위해 마련되었다.

정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강대국들의 국익 중심 각축전이 치열해지는 다극화 시대를 맞아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한반도 평화공존의 새로운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중”이라고 현실을 진단하고, “우리에게 평화는 생존과 발전의 기본 전제”라면서, “지금은 ‘평화의 시간’이어야 하며,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 주장은 우리가 하기에 따라 평화공존의 두 국가로 바뀔 수 있고, 이는 장기적으로 평화적 통일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발제를 맡은 이정철 서울대 교수는 “당분간은 북한의 외교에서 북러동맹이 최우선 순위를 차지할 것이고 이 과정에서 남북관계를 후순위에 둘 것이라며, 미중전략경쟁 체제 혹은 신냉전형 대결 체제의 가장 큰 수혜 국가가 북한이라면 가장 큰 피해자가 한국이 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고 정세를 진단했다. 이어서 “한국은 평화를 최우선 가치로 내세우고, 이를 위한 군비통제가 필요하다면서, 그 원칙으로는 선제적 평화조치, 절차적 예측가능성을 높이는 신뢰구축조치, 그리고 군비통제를 핵군축으로 확대해석하지 말아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토론자로 나선 고유환 전 통일연구원 원장은 “북한이 군사분계선(휴전선)을 국경선으로 바꾸는 헌법적·물리적 조치를 취하고 있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마음을 바꾸지 않으면 남북관계 복원은 쉽지 않을 것”, “복원된다고 해도 ‘민족 내부의 잠정적 특수관계’보다는 ‘국가 대 국가의 국제관계’로의 관계재설정을 요구할 것”으로 분석하고, “개헌을 추진할 때 영토규정에 단서조항을 마련하는 등 묘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 제안했다.

정준호 포럼 책임연구의원은 “동북아평화공존포럼이 정부와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논의의 장을 활성화시키는 창구역할을 하도록 하겠다”는 것으로 토론회를 마무리 하였다. /서울= 김영묵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