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사설] 전북도 인사 난맥, 구조적 개혁 없인 실패 반복

모든 조직은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해 목표했던 성과를 내고자 한다. 그래서 예로부터 ‘인사는 만사’라고 했다. 하지만 민선 8기 전북도정의 지난 3년은 이 단순한 원칙조차 제대로 지키지 못하며 도정 운영 전반이 난맥상을 보였다. 도민들의 기대와 신뢰를 짊어지고 출발했지만, 인사 시스템 부재와 잇따른 잡음은 도정의 발목을 붙잡고 결국 전북 발전의 동력을 갉아먹고 있다.

최근 서울 전북장학숙 관장에 ‘전과 5범’의 전직 도의원이 임명됐다가 낙마하는 촌극은 그 단적인 사례다. 음주운전 전력이 세 차례나 있는 인물을 공공기관장에 앉혔다는 사실만으로도 인사 검증이 얼마나 허술한지 말해 준다.

문제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초대 정무수석은 음주 운전으로 물의를 켜 사퇴했고, 기업 유치를 위해 개방형 공모로 영입된 고위 간부는 갑질에다 지역 정서에 맞지 않는 언행으로 낙마했다. 도 대변인실은 전직 대변인들이 잇따른 갑질 문제로 중도 하차했고 일부는 산하기관에 재취업하거나 외려 영전을 하는 기묘한 인사로 안팎에서 강한 비판을 받았다.

이뿐만이 아니다. 도청 주요 간부의 갑질 행태가 요즘 도청 내에 파다하고 과거 익산부시장 시절 택시기사와 다툼을 벌여 말썽이 됐던 공직자가 도청 주요 보직으로 전보된 사례도 있다. 1년 반 전 각종 논란이 연이어 터졌을 때 비서실장을 교체하며 ‘쇄신’을 약속했지만 해당 인물을 서울중앙협력본부장으로 보낸 것은 책임 회피에 다름아니다. 시민단체와 도의회는 이미 수차례 인사 난맥상과 공무원 기강 해이를 지적했다. 그럼에도 도정은 이를 외면하거나 땜질식 처방으로 대처해 왔다.

공직 사회의 근본은 공정성과 도덕성에 기반한 인사다. 공공기관은 특정 인맥을 챙기는 자리가 아니라 도민을 위한 봉사의 장이다. 그런데도 측근 챙기기식 정실 인사와 허술한 검증은 전북도의 인사 시스템이 얼마나 허술한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이 같은 상황은 단순히 인사 실패에 그치지 않는다. 도정의 동력과 신뢰를 약화시키고, 도민 사회 전반에 ‘전북도는 믿을 수 없다’는 인식을 심어 준다. 인구 감소, 지역경제 침체, 올림픽 유치 등 산적한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행정의 전문성과 도민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인사 구조라면 유능한 인재는 떠나고, 무능과 비리가 판치는 악순환만 이어질 뿐이다.

전북도는 이제 더 이상 변명의 여지가 없다. 단순히 한두 명을 경질하는 방식이 아니라, 공정성과 투명성을 담보할 수 있는 인사 시스템을 전면 재정비해야 한다. 최소한의 검증 장치를 강화하고, 도덕적 흠결이 있는 인사는 원천적으로 배제하는 기준과 원칙을 세워 적용해야 한다.

‘인사는 만사’라는 경구는 오늘날에도 유효하다. 전북도의 인사 실패가 도민의 자존심을 더 이상 훼손하지 않도록 지금이야말로 뼈를 깎는 쇄신이 필요하다. 김 지사는 도민 앞에 책임 있는 답을 내놓아야 하며, 인사 시스템 전반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재설계해야 한다. 그것만이 무너진 도민 신뢰를 회복하고 전북 발전의 동력을 되살리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 글쓴날 : [2025-09-24 14:47:42]

    Copyrights ⓒ 전북타임즈 & jeonbuktimes.bstor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