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일 “새만금수목원 사업 하도급계약 23건 중 전북특별자치도(이하 전북)에 영업소를 둔 업체와 계약을 체결한 건은 단 1건 뿐인 걸로 확인됐다”며 지역업체 홀대 사실을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25년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새만금수목원 사업은 현재 디엘이앤씨를 중심으로 5개 업체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진행 중이며, 이 중 전북에 영업소를 둔 업체는 동경건설과 정주건설 단 두 곳뿐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이들 두 업체의 공동이행 비율은 각각 5%씩 총 10%에 불과한 실정이다.
자료 분석결과, 계약업체들이 상시근로자로 지역주민을 채용한 근로일수는 전체 37,962일 중 6,460일로 17%에 불과했으며, 비정기 고용인력을 포함하더라도 45.5% 수준인 17,634일에 그쳤다. 반면, 전북업체인 진흥설비(익산 소재)의 경우 지역주민 고용률이 100%에 달했다.
현행 「새만금사업 추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 새만금사업법) 제53조에는 공사·물품·용역 등의 계약을 체결할 때 전북특별자치도에 주된 영업소를 둔 자를 우대하도록 명시되어 있다. 그럼에도 디엘이앤씨의 하도급 선정 절차 및 발주 전략 회의에서는 전북업체를 입찰참여 대상 선정 시로만 한정하고 있어, 지역업체를 사실상 홀대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 의원은 “윤석열 정부 시절 새만금 잼버리 파행으로 삭감된 새만금수목원 예산 복원을 위해 전북도민 전체가 피땀을 흘렸다.”라며 “이렇듯 전북의 핵심사업인 새만금사업에서 전북업체를 배제하는 것은 타 지역 업체만 배불리는 결과를 초래할 뿐”이라고 비판했다.
이와함께 이 의원은 새만금국가정원 조성사업을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용역비 10억 원의 예산반영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새만금 면적은 409㎢로 서울시 면적의 약 68%에 달하는 방대한 규모이지만, 새만금 기본계획상 공원·녹지율 20% 내외에 비해 실제 녹지조성률은 0.56%에 불과하다. 이미 매립률이 48%에 이르고 있으며, 척박한 간척 매립지의 특성상 수목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까지 10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그린인프라 조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이 의원은 “현재 국가정원은 순천(순천만)과 울산(태화강) 등 남해안권에만 집중되어 있다.”라며 “산림청은 권역별 국가정원 확충을 명시한 「수목원정원법」에 따라 서해안권의 중심인 새만금국가정원 조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아울러 산림청 소관 주요 전북 현안사업인 ‘국립지덕권산림약용작물 산업화단지 조성사업’의 필요성도 함께 제기했다.
이 의원은 “전 세계적으로 의료 및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약용식물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라며, “전북 진안군과 장수군 등은 인삼, 오미자 등 산림약용식물에 특화된 지역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인 약용작물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천혜의 입지”라고 강조했다. /서울=김영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