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한병도 “상호금융권 보이스피싱 피해 계좌 7만건”

- 최근 5년간 피해 건수 총 1만 9,837건, 피해 환급액은 738억원에 불과해
- 지급정지계좌 건수는 지난 5년간 농협중앙회가 가장 많고 새마을금고,신협중앙회,수협중앙회 순
- 한병도 의원“해외거점 보이스피싱 조직이 기승... 고령층 맞춤형 예방 서비스 강화해야”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일 “최근 5년간 국내 상호금융권(농협·신협·수협·새마을금고)에서 전기통신금융사기(보이스피싱) 범죄에 악용돼 지급정지된 계좌가 7만여 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우려했다.

한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농협중앙회, 신협중앙회, 수협중앙회,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는 1만 9,837건이고, 사기 이용 계좌로 신고되어 지급정지된 계좌는 총 7만 129건으로 집계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금융권별로는 농협중앙회가 5만 552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새마을금고(1만 640건), 신협중앙회(8,013건), 수협중앙회(924건) 순으로 뒤를 이었다.

연도별로 보면 2021년 1만 4,352건, 2022년 1만 6,053건, 2023년 1만 2,515건, 2024년 1만 5,682건이 지급정지 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까지도 1만 1,527건이 정지되어 예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피해 금액은 5년간 3,433억 원이고, 환급액은 738억 원으로 확인됐으며, 피해금액의 환급 비중은 2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의원은“최근 캄보디아 등 해외에 거점을 둔 보이스피싱 조직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며, “지역금융기관의 특성상 고령층 이용 비율이 높은 만큼,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보이스피싱 예방 교육 서비스 등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김영묵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