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8일 “식품, 축산물의 안전한 공급 기반 마련을 위한 HACCP 인증업체가 증가하면서 사후관리 문제로 10개 중 1개 업체가 부적합 판정을 받은 등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고 말했다.
HACCP은 식품이 원재료의 생산 단계에서 제조, 가공, 보존, 조리 및 유통 단계를 거쳐 소비자에게 도달하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위해 물질이 섞여 오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위생 관리 시스템이다.
박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HACCP 인증업체수는 2020년 13,994개소에서 올해 6월 기준, 21,780개소로 55.6% 급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2020년부터 올해 6월 기준 해당 기간 식품의 경우 사후관리 대상업체 16,428개소 중 부적합 업체는 1,560개소로 부적합률은 9.5%에 달했다. 또 축산물은 사후관리 대상업체 14,288개소 중 부적합 업체가 1,442개소로 10.1%로 나타났다. 특히 축산물의 지난해 부적합률은 13.1%로 가장 높았다.
사후관리 대상 업체가 증가면서 관리인력 부족으로 현장조사를 면제하는 업체도 크게 늘어났고, 부적합률까지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사후관리 대상 업체는 2020년 8,012개소에서 지난해 14,824개소로 85%가 급증했고, 현장조사 면제 비율은 같은 기간 39.6%에서 69.3%로 늘었으며 부적합률은 2020년 8.4%에서 지난해 11.3%로 높아졌다.
관리 인력 부족도 심각한 문제이다. 지방청의 사후관리 전문인력은 2019년 21명에서 2020년 29명으로 증원된 뒤 계속 정체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관리인력 1인당 담당 업체수는 2020년 157개소에서 지난해 274개소로 두배 가까이 늘었다.
박 의원은 “선진적인 식품, 축산물 관리 제도로 통하는 HACCP 인증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있다. 인증업체가 크게 늘었지만, 사후관리 전문인력은 제자리 걸음이다”며 “소비자가 믿고 먹을 수 있도록 보다 관리를 철저히 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김영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