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윤준병 ‘농협중앙회 전북 이전법’ 발의

- 농생명수도 전북에 농협중앙회 이전해 균형성장/5극·3특 실현 -
210만 농업인 대표기관인 농업협동조합중앙회, 농업 현장과 동떨어진 서울 소재지에 있어
이재명 정부의 균형 성장 및 전북특별자치도 대도약 위한 상징적 행보,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8일 국가 균형성장과 전북특별자치도의 대도약을 위한 의지를 담아 「농업협동조합법 일부개정법률안」, 일명 ‘농협중앙회 전북 이전법’을 발의했다.

윤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21일 △이재명 국민주권정부의 성공, △2026년 지방선거 승리, △전북특별자치도 대도약을 슬로건으로 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당 위원장 출마를 공식 선언한 했으며, 전북 발전의 일환으로 농협중앙회를 전북으로 이전해야 한다”며 이같은 법안발의 배경을 밝혔다.

이어 “수도권 일극 체제가 가속화되고 농어촌소멸·지방소멸 위기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역대 정부마다 수도권 집중을 막고 국토균형발전을 실현하는 과제를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며 “노무현 정부 당시 추진된 1차 공공기관 이전에 이어 추가 공공기관 이전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210만 농업인과 전국 지역농협을 대표하고 지원해야 할 농협중앙회가 농업 현장과 동떨어진 서울에 본사를 두는 것은 농업의 특수성과 국가 균형발전 정책 방향에 역행한다는 지적이 있다”면서 “농협중앙회가 공공기관이 아니라는 이유로 이전 논의대상 기관에서 매번 제외되어 왔다”고 지적했다.

이에 윤 의원은 농촌진흥청을 비롯해 국립농업과학원·국립식량과학원·국립원예특작과학원·국립축산과학원 등 4대 국립과학원과 한국농수산대학교, 한국식품연구원 등 50여 개 국가기관이 집적된 농생명수도인 전북특별자치도를 농협중앙회의 소재지로 명시하는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윤 의원의 법안이 국회를 통과되어 농협중앙회가 이전된다면 수천억 원의 지역 투자 효과와 매년 수백억 원대의 지방세 수입 증대, 그리고 대규모 인구 유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된다.

농협중앙회는 금융지주를 산하에 두고 있는 만큼 본사 이전에 따라 금융 인력과 관련 기관 유치가 가능해져 전북에게는 농생명-금융허브 도약의 결정적인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윤 의원은 “전북은 예로부터 ‘농도(農道)’로 불릴 만큼 농업의 비중이 높고, 농촌진흥청, 국립종자원 등 농생명 분야 국가기관 14개와 연구기관 50여 개가 밀집되어 있는 명실상부한 농생명수도”라며 “농협중앙회가 농업 생산·연구·행정·유통이 통합된 전북특별자치도로 이전한다면, 농업과 농민에 기반을 둔 농협의 특성을 더욱 부각시키면서 균형성장 실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역 정치권과 주민들의 염원을 모아 이번 법안이 22대 국회 내에 반드시 통과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서울=김영묵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