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거점국립대인 전북대학교가 위상에 걸맞지 않은 행보로 지역사회에서 갖은 지탄과 물의를 빚고 있다.
이에 따라 본보는 전북대의 특임교수 남발과 꾸준히 떨어지고 있는 취업률, 주차비 인상, 유학생 실태, 등 문제점을 10여 차례 걸쳐 중점 보도한다. /편집자 주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집중이 가속화되며 지방 거점국립대학인 전북대학교도 구조적 위기에 직면했다.
교육부의 2024년 대학정보공시를 보면, 거점국립대 간 교육투입 격차는 이미 '고착화' 단계다. 전북대학교는 연구성과에서는 상위권이지만, 학생 1인당 교육비와 재정투입 규모는 수도권 대학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친다.
전북대의 학생 1인당 교육비는 2,507만 원으로, 충북대(2,486만 원)·강원대(2,397만 원)와 비슷하다. 거점국립대 평균은 2,530만 원 선이다.
반면 서울대는 6,302만 원으로, 지방 거점대의 2.5배 이상이다. 학생이 누리는 교육 인프라의 '출발선'이 다르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북대는 지역 산업·지자체와 연계된 연구 프로젝트에서는 강세를 보인다. 지난해 외부 연구비 4,800억 원을 확보해 충북대·강원대를 앞섰다. 그러나 대형 과제 중심의 연구 구조와 낮은 교육투입비는 여전히 과제다.
현장에서는 "연구비는 늘었지만 학생이 체감하는 수업·실험·장학 투자는 제자리"라는 비판이 나온다.
한 전북대 교수는 "재정 구조가 연구 중심으로만 흐르면 교육이 희생될 수밖에 없다"며 "교육과 연구의 균형이 깨지면 대학의 지속 가능성도 무너진다"고 말했다.
지방대의 위기는 단순한 예산 부족이 아니다. 15년째 동결된 등록금, 감소하는 정부 교부금, 지역 소멸로 인한 신입생 급감이 맞물리며 대학 운영의 숨통을 죄고 있다. 수도권 대학의 절반 예산으로 같은 교육을 유지해야 하는 '불균형 게임'이 계속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북대를 비롯한 지방 거점대들이 단순히 예산 증액을 요구하기보다 재정구조 혁신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한다.
교육재정 전문가 김모 교수는 "등록금 수입이 정체된 상황에서 대학이 버티려면, 지역산업 맞춤형 학과 개편과 기부·산학펀드 등 비등록금 수입 다변화가 필수"라고 말했다.
정부는 내년부터 거점국립대 지원 예산을 확대할 계획이지만, 대학들은 "일회성 지원으로는 구조적 격차를 줄일 수 없다"며 회의적이다.
실제 거점국립대 평균 교육비는 5년째 2,500만 원 안팎에서 정체돼 있다.
결국 지방대 위기의 본질은 단순한 투자 부족이 아니라 '국가적 불균형'이다. 수도권 집중이 해소되지 않는 한, 전북대가 '중간권의 늪'을 벗어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최성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