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학생맞춤통합지원법 시행을 앞두고 지역 단위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한다.
전북교육청은 5일 전주 더메이호텔에서 '학생맞춤통합지원 지역 네트워크 구축 워크숍'을 열고, 학교 중심의 지역 연계형 학생지원 체계 구축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워크숍은 내년 3월 1일부터 전면 시행되는 '학생맞춤통합지원법'에 대비해 마련된 자리로, 학생의 학습·복지·건강·진로·상담 등 다각적 영역에서의 맞춤형 지원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협업 기반을 다졌다.
단순한 부처별 지원을 넘어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 학생 성장을 책임지는 통합적 지원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도내 14개 교육지원청을 비롯해 시·군청, 경찰서, 정신건강복지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가족센터, 아동보호전문기관, 복지관 등 관련 기관의 실무자 13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기관 간 정보 공유와 협력체계 구축을 중심으로 학생 지원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했다.
워크숍은 전북교육청의 학생맞춤통합지원 정책 추진 현황 안내를 시작으로, 전 삼정중학교 이돈집 교사의 '학생맞춤통합지원 이해 및 우수사례' 발표, 기관별 역할 인식과 협업 방안 논의, 지역별 실행 전략 수립 등으로 이어졌다. 소규모 그룹별 토의와 전체 공유를 통해 지역 여건에 맞는 실천 가능한 협력 모델을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복합적인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위해 학교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기관이 연계·지원하는 통합 모델을 현장 중심으로 논의하며, 각 기관 간 협업의 실질적 방향을 모색했다. 참석자들은 향후 정기적인 협의체 운영과 정보 공유 채널 구축의 필요성에도 공감대를 형성했다.
오선화 전북교육청 미래교육과장은 "학생맞춤통합지원은 학교의 힘만으로는 완성될 수 없는 정책이며, 지역사회 전체가 학생의 성장을 함께 책임지는 협력체계가 필요하다"며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정례적인 네트워크 운영을 통해 위기학생 조기발견과 맞춤형 지원이 한층 강화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전북교육청은 교육청과 지자체, 지역 유관기관 간 긴밀한 협업 구조를 정례화하고, 학생 중심의 통합지원이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정책 연계와 행정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최성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