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사설] 수출기업 지키는 전북형 통상종합대책 환영한다

미국이 자국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50%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수출기업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세계 교역 질서가 보호무역주의로 재편되는 가운데 전북의 중소 수출기업들 역시 수출 둔화와 원자재 가격 상승, 환율 불안 등 복합 위기에 놓여 있다. 이처럼 불확실성이 커지는 대외 환경 속에서 전북자치도가 선제적 통상 대응 체계를 가동한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다.

전북도는 통상정책 대응반을 꾸려 맞춤형 종합대책을 본격 추진한다. 핵심은 관세 대응과 함께 자금, 판로, 컨설팅, 인증 지원 등 기업의 체감도를 높이는 다층적 지원이다. 무엇보다 기업이 가장 절실히 원하는 금융 안전망을 강화한 점이 눈에 띈다.

도는 수출기업 특별자금 100억 원을 신설하고 거치기간 연장 600억 원, 긴급대환자금 200억 원 등 총 900억 원 규모의 정책 자금을 마련했다. 갑작스런 관세 인상과 수출 피해로 자금난을 겪는 기업들에게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된다.

시장 다변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도 초점을 맞춘 점 또한 주목할 만하다. 전북도는 ‘관세 대응 수출 바우처’를 새로 조성해 신흥시장 개척을 적극 뒷받침하고 있다. 오는 12~13일 열리는 ‘2025 JB-FAIR’에는 120여 개 기업과 80여 명의 해외 바이어가 참여해 새로운 거래선을 모색한다.

특히 주목할 대목은 ‘기업 맞춤형 사후관리’에 방점이 찍혀 있다는 점이다. 도는 기업과 통상 전문가를 1:1로 매칭해 실시간 컨설팅을 제공하고 메일링 서비스와 설명회를 통해 미국 관세 정책의 변화와 대응 방안을 공유하고 있다.

이같은 정책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결과다. 도는 지난 8월 도내 1,800여 개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수출바우처·보험료 등 수요 맞춤형 지원(24%)과 해외시장 개척(23%)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이에 따라 도는 내년도 수출 지원정책을 기업 수요 중심으로 설계, 바우처와 해외 전시회 참가 지원 규모를 대폭 늘릴 계획이다.

전북은 제조업 기반이 취약하고 대기업 의존도가 낮아 중소기업의 수출 비중이 높다. 따라서 통상위기 때마다 가장 먼저 흔들리고 가장 늦게 회복되는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다. 이번 대책은 이런 지역 산업 구조를 감안할 때 단기 대응을 넘어 중장기 수출 생태계의 체질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중앙정부와의 협력 강화도 필수적이다. 전북도의 정책금융 확대와 컨설팅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산업통상자원부, 코트라 등과 긴밀히 연계해 수출보험 확대, 통상 분쟁 대응 지원, 해외 마케팅 네트워크 구축을 병행해야 한다.

글로벌 통상환경은 더 이상 과거의 규칙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기술 패권, 기후 변화, 공급망 재편 등 새로운 변수들이 시장 질서를 흔들고 있다. 이런 시대일수록 지역이 중심이 되어 민첩하게 대응하는 것이 경쟁력이다. 이제 전북의 통상정책은 ‘방어’에서 ‘공세’로 나아가야 한다. 위기 속에서도 길을 찾는 전북 수출의 새로운 돌파구, 그 출발점이 바로 지금이다.
  • 글쓴날 : [2025-11-06 14:46:51]

    Copyrights ⓒ 전북타임즈 & jeonbuktimes.bstor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