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 전북도당은 7일 성명을 통해 "수백억의 시민 혈세가 투입된 전주시 드론축구 월드컵은 구경 온 관광객은 없고 선수는 시비 지원으로 ‘거저 모셔 온’ 그들만의 잔치로 끝났다"며 공허하고 충격적이다고 입장을 피력했다.
또 "이는 예견된 참사다. 이 사안의 본질은 단순한 행정 실패가 아니라, ‘지자체(전주시)-협회(대한드론축구협회)-기술원(캠틱)-사업자’로 이어지는 공고한 특권 카르텔이 시민의 세금을 사유화한 예산 농단이다"고 비난했다.
조국당은 "이 카르텔의 정점에는 ‘캠틱’이 있다. 캠틱은 전주시의 전폭적인 지원 하에 드론축구 사업을 사실상 독점했다"며 "드론축구 사업에 전주시는 12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했고 본래 농업용 드론을 개발하다가 뛰어든 캠틱에 전주시는 시 소유인 ‘첨단벤처산업단지’ 운영 위탁을 20년 가까이 독점하며 76억 원이 넘는 시 예산을 받아 갔고 공개입찰로 전환된 후에도 3차례 연속 선정된 것이 과연 공정한 경쟁의 결과냐"고 반문했다.
특히 "이것이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지도 않았고 협회를 중심으로 드론 산업을 기반으로 성장하거나 지원받은 기업은 ‘캠틱’ 뿐이지만 캠틱 구성원은 거의 변동 없이 '그들만의 리그'를 공고히 했을 뿐이다"고 전제한 뒤 "이런 와중에 캠틱 내부적으로는 되려 기존 직원들이 부당노동행위로 노동청에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시민의 세금이 특정 민간 법인의 독점적 이익과 비자금, 해외 골프 접대 의혹으로 흘러 들어간 것이다"고 덧붙였다.
조국당은 "200억 원이 투입된 신설 경기장은 활용도가 극히 낮아 텅 비어있고 이는 애초에 행사를 주관해야 할 협회가 경기장 설립으로 인한 수요와 활용에도 무관심하다는 증거다"며 "더 심각한 것은 산업통상부 인가 단체라는 이유로 ‘산업 육성’ 예산은 받아 갔지만, 정작 스포츠로 성장하기 위한 문화체육관광부 인가와 대한체육회의 가맹으로 프로 리그를 결성하려는 노력은 전무하다"고 말했다.
또 "두 전·현직 시장에 걸쳐 수백억을 쏟아붓고도 ‘산업’도, ‘스포츠’도 아닌 알맹이 없는 유령 사업만 남았다. 이는 ‘스포츠’는 명분일 뿐, ‘산업 R&D 예산’을 독점하기 위한 구조임을 강력하게 시사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비리 의혹이 터지자, 이 카르텔은 ‘꼬리 자르기’로 대응했고 협회 사무국장은 해임됐지만, 협회장이자 캠틱 원장은 대한드론축구협회 회장직만 사임한 채 국제드론축구연맹 회장직을 유지했고 당시 담당 공무원은 승진까지 했다"며 "지난해 시의회가 회계 감사를 요구했지만, 캠틱은 이를 거절했고 전주시는 “직접 감사의 권한이 없다”며 적극적인 협조로 위장한 ‘방패막이’를 자처했다는 논리다.
120억 원을 지원한 기관에 지속적인 대처도 하지 않으며 '감사 권한이 없다는 말을 어느 시민이 납득하는가'라며 반문했다.
이에 따라 조국혁신당 전라북도당은 "이 사태를 ‘특권과 반칙’이 ‘청년의 기회’를 박탈한 중대 범죄로 규정하고 전주시의회는 120억 예산과 200억 경기장 사업 전반에 대해 전주시를 대상으로 한 즉각적인 특별감사에 착수하라"고 요구했다. 또 "수사기관은 꼬리 자르기식 수사를 중단하고, 비자금의 사용처(해외 골프 및 성 접대 의혹)는 물론, 몸통인 캠틱 지도부와 승진 공무원을 포함한 전주시 지휘부의 유착 의혹까지 성역 없이 수사할 것"을 촉구했다.
/장정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