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북대 중심으로 ‘익산 동물헬스케어 메카’ 본격 시동

대학·연구기관·기업 12곳 협약…‘익산동물헬스케어연구소’ 개소로 산업 클러스터 탄력
익산에서 추진 중인 '동물헬스케어 산업 클러스터'가 전북대학교를 중심으로 새로운 협력 체계를 갖추기 시작했다.

전북대가 연구기관과 관련 기업들과 간담회 및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익산동물헬스케어연구소'가 출범하면서 지역 동물헬스케어 산업 기반 구축이 본격화되고 있다.

전북대는 25일 오전 10시 한국동물용의약품평가연구원에서 간담회를 열고 JBNU 지역발전연구원과 동물헬스케어 기업 12곳과 함께 산업 현안과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이스텍바이오, 주영바이오, 케이팜스, 우진비앤지, 진셀바이오텍 등 의약품·의료기기·단백질·반려동물 식품 관련 기업들이 참석해 인허가 절차, 전문인력 부족, 지역 정착 문제 등 업계가 겪는 현실적 어려움을 공유했다.

기업들은 익산이 동물헬스케어 특화 도시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대학과 연구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북대와 한국동물용의약품평가연구원은 이에 △공동 기술개발 및 창업 지원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전문 인력 양성 △규제 합리화 및 정책 발굴 등을 포함한 협력 내용을 제시했다.

익산은 동물용의약품 기업이 밀집한 지역이지만, 연구·인력 기반의 체계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있었다. 지역 대학·연구기관·기업이 연계해 산업 기반 구축 논의를 본격화했다는 점에서 변화의 가능성이 주목된다.

이스텍바이오 박승문 대표는 "기업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인허가와 인력 확보 과제를 대학과 협력해 풀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오봉 총장은 "지역 거점대학으로서 산업 지원 역할을 강화하겠다"며 "연구 인프라와 교육 역량을 바탕으로 클러스터 기반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간담회 이후 '익산동물헬스케어연구소'가 현판식을 갖고 공식 개소했다. 연구소는 평가연구원·전북대 지역발전연구원과 함께 클러스터 기반 기획, 국책과제 발굴, 기업 지원 전략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초대 소장으로 임명된 박철 전북대 수의대 교수는 "연구소가 산업 정책과 R&D 전략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북대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글로컬대학30사업과 연계한 동물헬스케어 특화 인재 양성 모델을 마련하고, 지역 기업의 정착 지원과 창업·R&D 체계 강화도 추진할 계획이다.

/최성민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