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북교육청, 학생 맞춤형 학력지원 본격 강화

학력신장 정책공유회 열고 2026년 개선 방향 논의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학생 개별 수준에 맞춘 학력지원 체계 강화를 위해 정책 점검과 개선 논의에 본격 나섰다.

전북교육청은 28일 전주 치명자산성지 평화의전당에서 도교육청·교육지원청·직속기관 학력신장 업무 담당자 1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 학력신장 정책공유회'를 개최했다.

이번 공유회는 올해 학력신장 사업의 성과를 나누고, 현장의 요구를 반영해 2026년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전북교육청은 올해 학력신장 정책을 기존의 양적 실적 중심에서 벗어나 학습경험의 질, 학생 만족도, 핵심역량 향상 등 ‘질 중심 체계’로 전환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왔다.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전북형 학력신장 모델을 기반으로, 기초학력에서 맞춤형 학력까지 학생에게 필요한 지원을 단계적으로 제공하는 데 방점을 찍었다.

1부 성과 공유 시간에는 각 부서와 기관이 운영한 특색 있는 학력신장 사례가 발표됐다. △중등 맞춤형 학력신장 사업(중등교육과) △초등 학력신장 정책 현황(유초등특수교육과) △아침 10분 독서 운영 성과(문예체건강과) △수학 문제해결반·교원 역량강화 연수·영어 기초·확장 프로그램 운영 성과(창의인재교육과) △찾아가는 한국어 교육 운영 사례(민주시민교육과) △IB 기반 수업·평가 설계 사례(미래교육과) 등이 소개됐다.

이어 전주·김제·진안교육지원청이 지역 기반 학력신장 프로그램 운영 경험을 공유하며, 협력 모델 확산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분임 토의에서는 학생 학력향상 지원 방안과 지역별 맞춤형 학력지원 확대 등 현장의 어려움과 개선 사항이 논의됐다. 이날 논의된 의견은 도교육청 학력신장 추진단을 중심으로 검토해 2026년 정책 설계에 반영될 예정이다.

최은이 중등교육과장은 "학생이 스스로 배우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현장의 학습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교육과정–수업–평가가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전북형 학력신장 모델을 더욱 탄탄하게 만들겠다"고 말했다.

/최성민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