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거점국립대를 표방하는 전북대학교가 위상에 걸맞지 않은 행보로 지역사회의 지탄을 받는 가운데 본보는 전북대의 특임교수 남발, 고위직 비리백태, 취업률, 주차장 장사, 유학생 허와 실, 삼성문화회관 적자현황, 각종 MOU 협약 남발, 해외출장 현황, 논문공장 문제, 연중 공사로 인한 수업권 침해, 수의계약 실태, 창업보육센터, 기술지주회사, 글로컬 캠퍼스 등 각종 문제점을 15차례에 걸쳐 집중 보도한다. /편집자 주
전북대학교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여러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실제 학업·생활 적응에 얼마나 도움이 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실효성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국제화를 확대한다는 대학의 정책 방향과 달리, 제도 활용과 운영 성과를 확인하기 어려운 구조가 문제로 지적된다.
전북대는 매 학기 'JBNU Campus Buddy' 프로그램 등 유학생 지원 제도를 마련하고 있으나, 이러한 제도들이 실제로 얼마나 활용되고 있으며 어떤 성과를 내고 있는지는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다.
제도 발표와 안내는 이뤄지고 있지만, 프로그램 참여 현황·만족도 조사·후속 지원 실적 같은 핵심 자료는 공개가 부족해 실효성을 판단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나온다.
대학 홍보에서는 '만족도 향상'이라는 표현이 반복되지만, 이를 뒷받침할 구체적 근거는 제시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일부 유학생들은 지원 체감도가 낮다고 말한다. 전북대에서 1년째 공부 중인 한 유학생은 "지원 프로그램이 있다는 건 알지만 실제로 참여하기 어렵다"며 "도움을 받고 싶어도 누구에게 물어봐야 하는지 잘 모를 때가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유학생은 "기숙사 생활 규칙이나 학교 시스템을 제대로 안내받지 못해 적응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며 "필요한 정보를 한 번에 제공해주는 체계가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타 거점국립대와 비교하면 차이는 더 분명해진다.
경북대는 한국어교육센터 운영 실적과 상담 프로그램 결과를 정기적으로 안내하고, 충남대·충북대 역시 유학생 수 변화, 지원 인력 규모, 프로그램 운영 결과 등을 매년 공개한다.
단순히 제도를 운영하는 수준을 넘어, 실제 운영 데이터를 공개해 점검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전북대와 대비된다.
교육계에서는 국제화를 추진하는 대학일수록 지원 체계의 실효성과 운영 과정의 투명성이 필수라고 강조한다.
한 지역 대학 관계자는 "어떤 제도가 있느냐보다 실질적으로 어떤 효과를 내고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며 "지원 규모가 늘어나는 만큼 운영 결과를 주기적으로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북대는 유학생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지만, 프로그램 운영 실적을 정기적으로 평가·공개하는 체계는 아직 정착되지 않은 상태다.
국제화를 강조하는 대학으로서, 지원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점검과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최성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