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인재 육성의 산실 전북장학숙…32년 애환과 동행

전북 청년들의 새로운 보금자리…졸업생 2천8백53명 배출
전북 미래세대 집단 지성의 공간인 전북특별자치도 서울장학숙이 지난 1992년 개관한 이래 올해로 32주년을 맞았다.
올해는 128년의 전라북도를 뒤로 하고 전북특별자치도로 출범한 원년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서울장학숙 개관 32주년이 갖는 의미가 남다르다.
 
전북자치도 서울장학숙이 도전하는 미래인재 육성과 평생학습으로 새로운 전북의 비전 아래 시대를 선도하는 미래인재 발굴 및 육성의 미션을 수행하는 등 미래 지역 인재들에게 희망과 꿈의 주춧돌로 자리매김하고 있기 때문이다.
 
1992년 개관 이후 32년째 수도권에 진학한 전북 출신 학생들을 위한 보금자리가 되어주고 있는 전북자치도 서울장학숙이 서초구 방배동에 자리 잡은 것은 1991년 말.
1년여 공사로 연면적 8,669에 지하 1, 지상 5층의 유럽풍 현대식 건물로 지어져 오늘에 이르렀다. 200만 도민의 정성어린 성금과 전북 연고 기업인의 성금, 그리고 시행청인 당시 전북도가 도비를 투자해 장차 전북 발전에 기여하고 나아가 대한민국의 인재를 양성키 위해 설립됐다.
 
개관 당시 246명이 입사했으나 입사 경쟁이 치열하고 조금이라도 많은 도민의 자녀에게 혜택을 지원하기 위해 3차례에 걸쳐 시설을 증설해 현재는 300명의 정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지난 2005년에는 청운관을 개관해 5급 공채를 비롯한 각종 고시에 응시하는 고시생 60명을 대상으로 경제적인 부담을 덜고 공부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해마다 360명의 전북의 자녀들이 청운의 꿈을 안고 이곳을 거쳐가 수많은 인재가 더 큰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그간 서울장학숙이 배출한 인재만 총 2853명에 달한다. 이들 중 국가고시 및 국가전문직 합격자는 263(5급공채 67, 사법 87, 입법 3, 외교관 후보자 3, 변호사시험 19, 공인회계사 82, 세무사 1, 노무사 1)으로, 이들은 사회 각 분야와 지역사회에 진출해 빛과 소금 역할을 다하고 있다.
 
김관영 도지사는 서울장학숙은 초등학생부터 팔순 어르신까지 정성어린 성금을 기부해 준 덕에 1992년 건립된 전북인의 자존심과 긍지의 결합체다전북의 인재를 키우려는 도민들의 정성과 희망이 담긴 서울장학숙이 전북의 미래를 밝히고 국가의 동량으로 성장하는 인재 양성의 요람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서울=김영묵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