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가 지속가능한 생명경제도시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척박한 자연환경을 도전과 기술혁신으로 극복해 세계 2위의 농식품국가로 성장시킨 ‘네덜란드 모델’을 과감히 도입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전북연구원은 제66호 정책브리프를 통해 ‘네덜란드 농생명산업의 혁신 DNA’를 집중 분석하고, 이를 전북자치도의 농생명산업 전략으로 전환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했다.
전북연구원은 “네덜란드가 세계 농생명산업을 선도하는 것은 정부-민간-연구기관 간 긴밀한 협력구조인 ‘골든트라이앵글’, 디지털 기반의 정밀농업, 특화 교육체계와 금융모델, 물산업 플랫폼 등의 종합적 접근이 있었기에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전북연구원은 네덜란드의 농생명산업 사례를 바탕으로, 전북의 농생명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5가지 추진 방향을 제시했다.
우선 첨단농업 기반의 농식품산업 고도화를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꼽았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창업·연구·교육·체험 기능을 아우르는 복합 거점으로 육성해야 한다. 그리고 새만금 지역을 청년농 중심의 스마트농업 단지로 조성하여 생산성과 지속가능성을 모두 확보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어 첨단 로봇기술 기반의 농산업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고, 통합형 농생명 교육·연구체계 구축과 농업·물류 기반 특화 금융모델 도입, 농생명기반을 활용한 스마트 물관리와 물산업 플랫폼 구축을 제안했다.
연구책임자인 김보국 미래전략연구센터장은 “네덜란드의 농업혁신 사례를 전북의 여건에 맞게 접목하는 것은 단순한 농업기술 혁신을 넘어, 교육, 금융, 환경, 국제협력까지 포괄하는 ‘글로벌 생명경제도시’로 발돋움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김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