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7일 “미국·EU·중국 등 주요국이 ‘피지컬 AI(Physical AI)’를 농업 혁신의 핵심 전략산업으로 지정하고 막대한 투자를 진행하는 가운데, 농촌진흥청은 아무런 전략 없이 뒤처지고 있다”며 정부의 기술 대응 부재를 비판했다.
이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피지컬 AI’ 기술은 엔비디아 젠슨 황 CEO가 “AI의 다음 물결”이라 선언한 이후 2024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급부상한 AI 기반 농업 자동화·로봇화의 핵심 기술이다. 미국은 농무부와 국립과학재단 주도로 AI 연구소를 설립하고, EU는 ‘Horizon Europe’ 프로그램을 통해 농업 데이터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이미 정부 차원의 대규모 연구개발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실제 농진청은 ‘피지컬 AI 수준의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고 답변하는 등 글로벌 기술 경쟁의 흐름에서 뒤처진 현실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특히, 농진청이 2026년 신규사업으로 제안한 「차세대 농작업 자동화 및 초지능 농기계 기술 개발」 예산 75억 원이 정부안 심의 과정에서 전액 삭감된 사실은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이미 수십 조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는 주요국들과의 기술 격차가 더욱 벌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 의원은 “이번 예산 삭감은 단순한 재정 문제를 넘어, 농진청이 ‘피지컬 AI’ 기술의 중요성과 시급성을 정부와 관계 부처에 제대로 설득하지 못한 결과”라며, “국가 농업 R&D 컨트롤타워로서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것을 자인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2024년부터 전 세계가 피지컬 AI 기술로 전환하는 시점에 3년간의 공백이 생긴다면 우리 농업은 미래 기술 주도권을 완전히 상실할 위험이 크다”고 했다.
특히 “이번 예산 삭감은 전북특별자치도가 추진 중인 ‘협업지능 피지컬AI 기반 소프트웨어 플랫폼 연구개발 생태계 조성사업’과의 협력 기회를 놓친 결과”라며, “농진청의 대응 지연으로 전북도의 실증 테스트베드와 고성능 연산 플랫폼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정부와 농진청은 피지컬 AI 기술 확보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구체적 실행 로드맵을 예산 확보·공동 R&D·지자체 협력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며 “농업이 또 한 번 국가 R&D의 변두리에 머무르지 않도록, 미래 농업 기술혁신을 위한 국가 차원의 특단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김영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