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학교가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미술학과 교수 채용 비리 의혹과 청렴도 5년 연속 최하위, 교수들의 음주 운전 솜방망이 징계 등의 문제로 의원들의 집중 질타를 받았다. 전북대의 도덕적 해이가 극에 달했다는 여론이 팽배하다.
22일 오전 전북대 진수당에서 열린 거점국립대학·대학병원 국감에서 김용태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해 전북대 미술학과 교수 채용 과정에서 심사항목이 기존과 다르게 변경됐는데 특정 지원자를 밀어 주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의심을 살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앞서 전북대는 지난해 10월 진행 중이던 미술학과 교수 채용을 올해 1월 갑자기 중단했다. 심사 위원으로 참여한 교수가 1차 합격자의 개인 정보를 지원자에게 제공한 의혹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투서까지 등장하며 채용 절차도 중단됐다.
대학은 올해 1월 자체 감사에 돌입했다. 감사 결과 공정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대학은 지난 4월 해당 교수를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지난해 국감에서도 전북대의 청렴도를 지적한 바 있다. 그럼에도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면서 "개인적으로 명문대라고 생각하는 전북대에서 '5년 연속 청렴도 최하위', '교수 채용 비리' 등이 발생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질타했다.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도 같은 내용으로 지적을 이어갔다.
정 의원은 "심사 위원으로 참여한 모 교수가 응시자 중 한 명과 작품전을 함께한 이력이 있다"며 "전북대 교원임용 지침에는 이런 경우 배제·기피 대상임에도 사전신고가 없었다. 전북대의 '배제기피 제도'가 사실상 사문화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또 "채용 과정의 부당함을 제보한 사람이 있는데 전북대는 문제를 바로잡기보다 오히려 제보자를 겨냥해 개인정보 유출 혐의로 고소했다"며 "이의제기 무마를 위한 반전용 대응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에 양오봉 전북대 총장은 "채용 과정에서 미비한 점이 있었다면 사과드린다"며 "수사기관에 해당 사안을 의뢰해 조사가 진행 중이고, 결과에 따라 엄중히 처벌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어 전북대 교수들의 음주 운전 솜방망이 징계와 논문공장 이용 문제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김준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전북대'를 검색하면 교수 음주 운전에 관한 얘기가 대부분이다. 징계가 약해 다른 대학에 비해 음주 운전자가 많이 나오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전북대가 음주 운전 교수들에 대해 1~3개월 정직 정도 수준의 징계를 하고 있다. 이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다른 대학은 바로 해임인데 1개월 정도 정직으로 음주 운전 교수에게 면죄부를 주는 게 과연 한국 사회 현실에 맞는다고 생각하는지 모르겠다"고 질타했다.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은 전북대 교수들의 논문공장 이용 실태를 지적했다. '논문공장'은 연구자들에게 돈을 받고 논문을 대량으로 만들어주는 곳을 일컫는다.
김 의원은 "논란이 된 논문 중 34%가 전북에 있는 대학이고, 전북대는 이 중 3건으로 확인됐다"며 "전북대가 호남의 중심 대학인 만큼 전수 조사를 통해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성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