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전북테크노파크(원장 이규택)는 전북특별자치도 양자산업 생태계 조성 세미나를 지난달 31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전북특별자치도의 3대 메가신산업 중 하나인 양자산업의 전략적 육성과 산업화 기반 마련을 위해 추진된 행사다.
전북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과 전북디지털융합센터가 공동 주최하고, 국내 양자기술 유관기관 전문가 3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세미나는 ‘수요기반 양자기술 실증 및 컨설팅’ 사업의 핵심이 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소개하고, 전북 지역 주력산업과의 융합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미나에서는 △김효실 센터장(미래양자융합센터) '양자산업 생태계 동향 및 AI 융합 방향' △엄상윤 대표(아이디퀀티크, IDQ)가 'AI 시대의 보이지 않는 방패, Quantum-Safe 인프라' △이하영 박사(전북대학교) '수요기반 양자기술 실증 및 컨설팅 사업(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각각 발표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전북 양자산업 육성 로드맵 수립 용역 및 수요기반 실증·컨설팅 사업 자료를 바탕으로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전북의 10대 미래신산업과 양자기술의 접목 가능성을 논의했다.
특히 양자센서·에너지 하베스팅 등 핵심 기술을 도내 주력산업과 연계하는 방안, 향후 전북형 양자클러스터 조성 전략 및 기획 방향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행사에는 △연세대학교 박성수 교수(양자컴퓨팅)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김영희 센터장(양자정책)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이민경 팀장(양자 R&D 기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박근우 팀장(양자 표준, 시험인증) △SK브로드밴드 정소기 매니저(국내 양자기술 융합 서비스) 등 유관기관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해 국가 양자정책과 지역 실증의 연계 방안을 공유했다.
전북테크노파크 이규택 원장은 “전북은 아직 양자산업의 출발점에 있지만,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양자기술 실증과 수요기반 컨설팅이 본격화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테크노파크는 전북대학교, 한솔케미칼 등 도내외 산·학·연과 협력하여 양자기술이 에너지·바이오·센서 등 전북 주력산업과 융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혜민 기자